본문 시작
-
이은주 교수
- 직책 조교수
- 전공분야 중국고전문학
- 연구실 인문사회관 310호
-
연락처
Tel :
043-841-5443
E-mail ejulee@ut.ac.kr
❚ 학력
• 중국 北京大學 中國語言文學系 졸업(문학박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졸업(문학석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 졸업(문학사)
❚ 경력
• 2025.03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인문대학 중국어학과 조교수
• 2025.01 국립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전임대우 강의교수
• 2019.09~2024.12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통번역학과 강사
• 2022.09~2024.12 건국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 2021.03~2023.02 육군사관학교 교수부 외국어학과 강사
• 2020.09~2023.08 세종대학교 중국통상학전공 강사
• 2019.09~2022.02 유한대학교 교학처 강사
❚ 연구 업적
[학술논문]
이은주. (2024). 메타버스를 활용한 중국 고전 교육에 대한소고― <중국어 기초고문>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중국학보], 제107호.
이은주. (2024). 花間詞 화면 공간 분석, [중국어문학지], 제86호.
이은주. (2024). 关于莺莺故事结尾、体裁嬗变过程的小考, [중국학], 제86호.
이은주. (2024). An Essay on Spatial Composition in Ancient Chinese Paintings: Comparison between Chinese and Western Arts, [동서비교문학저널], 제67호.
이은주. (2024). 关于敦煌歌辞无名氏作家的小考, [동북아문화연구], 제1권 78호.
이은주. (2024). 蘇軾 詞의 서사성 연구, [문화와융합], 제46권 3호.
이은주. (2023). 蘇軾 黃州 時期 詞에 나타난 자기 위로와 치유, [중국연구], 제97권.
이은주. (2023). 歐陽修 <朝中措> 다시 읽기 ― 구양수의 자아 인식과 인생관 변화를 중심으로, [중어중문학], 제91호.
이은주. (2018). 中国의 韩国词 연구 현황- 2000년 이후 중국 대륙을 中心으로, [중국학연구], 제84호.
이은주. (2016). 周邦彦词的时间表现, [한중언어문화연구], 제42호.
이은주. (2015). 论柳永、周邦彦羁旅词的时空结构及抒情模式, [한중언어문화연구], 제37호.
이은주. (2014). 從學術文體角度讀浦江清『詞的講解』, [文史知識], 總期394集.
[저서]
최재영, 소영, 이은주. (2024). 베트스 중국어3, 시사중국어사.
최재영, 소영, 이은주. (2024). 베트스 중국어4, 시사중국어사.
[학술대회 발표]
이은주. 2023.12.02. 메타버스(Metaverse)로 만나는 <桃花源記>. 2023년 중국인문학회 대한중국학회 추계연합국제학술대회.
이은주. 2023.08.18. 詞人이 스스로를 위로하는 방법- 蘇軾 黃州 時期 貶謫詞를 중심으로. 제43회 한국중국학회 중국학국제학술대회.
이은주. 2019.11.03. 花間詞的敍事特徵. 中國唐宋文學年会.
이은주. 2016.06.21. 周邦彦詞的時間表現. 中韓中國學學術交流研討會
[연구과제]
이은주. 2024.06~2025.02. <디지털 기술 시대 중국 고전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수업 및 평가 모델 개발, 한국연구재단.
이은주. 2022.08~2023.09. <柳永 聯章詞 연구 – 음악성과 서사성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이은주. 2022.08~2023.09. <北宋 仁宗 시기 詞의 화자 연구>, 한국연구재단.
이은주. 2021.08~2022.09. <소식(蘇軾) 사(詞)의 서사성 연구>,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