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Dep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Dep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지난 세기 동안 디자인 분야의 교육은 세부전공을 중심으로 한 결과 도출이 중요했습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한 오늘날 디자인은 그 역할과 개념이 확장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에서는 디자인을 하나의 정적인 시각에서 연구 및 교육 하는 것이 아니라 기초와 응용단계를 융합하여 다각적인 사고를 통한 동적인 디자인 교육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공의 특징은 자체적으로 연구 개발한 교육 모델을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림의 CDECM은 4차 산업혁명으로 산업과 교육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 가치 혁신에 목표를 둔 디자인 교육 프로세스입니다.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공은 CDECM에 따라 디자인에 대한 기초 및 응용 그리고 전공 심화 단계를 경험하게 됩니다. 아울러 한국교통대학교 디자인학부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공은 비실기로 입학한 학생들이 어려움 없이 디자인을 배울 수 있도록 기초 단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초 단계에서는 디자인의 기본이자 기초인 드로잉과 컬러, 디자인 역사, 디지털 포토그래피, 그리고 다양한 2D와 3D 프로그램을 학습합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일러스트레이션, 포토샵, 인디자인, 스케치업, 3D 맥스 등이 포함됩니다.
응용 단계에서는 전공을 세분화하지 않고 서로 다른 전공 분야의 지식과 사고방식을 습득한 후 공통 목표를 가지고 시각, 제품, 공간, 서비스 등 해당 과제가 처한 문제를 해결 및 개선하기 위해 협력하여 진행 됩니다.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사고와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경험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창의적이고 새로운 아이디어, 콘셉트(concept) 도출이 가능해집니다. 전공심화 과정을 바탕으로 다양한 현장경험과 프로젝트형 교육을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전공심화 과정에서는 디자이너로서의 글쓰기를 학습해 자신의 작품을 어떻게 설명하고 알릴 수 있는지를 익히게 됩니다.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공의 수업은 교수와 학생 간의 자유로운 토론식, 1:1 면담식 등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기본으로 합니다. 일방적인 지식 전달이 아닌 서로의 생각을 이해하는 상호 교환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CDECM의 3단계 교육과정을 통해 갈고 닦은 실력과 전문성을 가지고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공의 학생들은 디자인 전 과정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독보적인 창의성을 갖게 되며 다양한 산업계를 넘나들 수 있는 진정한 다학제적 디자이너로 거듭나게 됩니다.
HISTORY
2023
- 03. 01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로 학과 명칭 변경
2012
- 03. 01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공으로 신입생 입학
2011
- 12. 30캠퍼스 별 특성화 방침에 따라 교통정보디자인 전공에서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전공으로 명칭 변경
- 03. 01교통정보디자인학 전공으로 신입생 입학
2010
- 12. 01교통 특성화 방안에 따라 교통정보디자인 전공으로 전공 분리 및 개설.
- 03. 01일반대학 전환에 따라 산업디자인학과의 전공 분리 계획안 수립
2006
- 03. 01국립충주산업대학교와의 통합. 충주캠퍼스로 학과 이전 및 개설
1992
- 03. 01국립청주여자전문대학 산업디자인과 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