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교수진

교수소개

본문 시작

Professor
  • 민기채교수 이미지
    민기채 교수
    • 직책 부교수
    • 전공분야 사회복지정책
    • 연구실 건축관 321호
    • 연락처 Tel : 043-849-1765
      E-mail minkichae@ut.ac.kr
▶ 학력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경제학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박사, 석박사통합과정) 



▶ 담당과목
국제사회복지론, 다문화사회복지론, 복지국가론, 빈곤론,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사회복지역사,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서비스론, 산업복지론, 통일복지론



▶ 연구분야 
통일, 북한, 비교사회정책, 복지국가, 체제전환국 복지국가, 연금, 노인복지



▶ 경력
2009.09 - 2012.02 서울대학교 핵심교양수업 강의조교
2010.03 - 2012.04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구원
2011.11 - 2014.02 서울대학교 사회대 연구방법론 상담실 상담컨설턴트
2013.04 - 2014.02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doctoral fellow
2011.09 - 2015.02 대학강사(서울대, 서울사이버대, 서울시립대, 전북대 등)
2014.03 - 2015.03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선임연구원
2015.07 - 2017.01 국민연금연구원 부연구위원
2017.02 - 2021.01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조교수
2018.01 - 2022.12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주임교수 
2018.01 - 2022.12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주임교수
2020.12 - 2022.11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소장
2023.01 – 2023.12 Research Associate, The Public Policy Institute, The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aland 
2021.02 –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부교수



▶ 학술저서
공저(2023). The Secrets and Evolving Trends of Korean Longev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공저(2023). 북한이탈주민 위기가구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책임(2022). 외국인근로자 가족-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공저(2022). 노후보장성 강화를 위한 연금제도개선 방안.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
공저(2022). 21세기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복지국가의 제도 개혁 사례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22). 아시아 사회보장제도 비교연구: 몽골과 중앙아시아 주요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21). 한국의 백세인 20년의 변화: 구곡순담 장수벨트를 중심으로. 군자출판사.
공저(2021). 북한이탈주민 포용을 통한 사회통합 제고 방안. 이북5도위원회.
공저(2021). 진천군 3차년도 지역사회통합돌봄 선도사업 모니터링 및 효과성분석. 진천군.
공저(2021). 남북한 사회격차 완화를 위한 북한의 의식주 생활 지표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책임(2021). 충주시 제5기(2023-2026) 지역사회보장계획. 충주시.
책임(2021). 이머징 국가 대상 「국민연금 글로벌협력사업」 중장기 로드맵 구축. 국민연금공단.
공저(2021). 재난대응 아동보호 매뉴얼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아동권리보장원.
공저(2020). 사회복지정책론: 분석틀과 선택의 차원. 지식공동체.
책임(2020). 충주시 다문화가족 중도입국청소년-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공저(2020). 아시아 체제 전환국 사회보장체계 연구: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20). 남북 간 사회격차 완화를 통한 한반도 평화복지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9). 통일과 사회복지. 나남.
공저(2019). 국민연금 현 복지사업 평가와 발전 방안 연구. 국민연금공단.
공저(2019). 충주시 다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 복지욕구조사. 한국교통대학교.
공저(2019). 남북 복지 분야 교류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책임(2019). 공무원연금 소득공백 해소방안 연구.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책임(2019). 대기업-중소기업간 복지 격차 현황 및 완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총중앙연구원.
공저(2018). 남북 당국 간의 보건복지 공적 의제의 분석과 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8). 국민연금 기금소진인식의 형성배경과 극복방안.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
공저(2018). 남북한 보건복지 제도 및 협력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8).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 네트워크 구조와 발전 방안: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책임(2017). 고령 북한이탈주민 사회보장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남북하나재단. 
책임(2017). 북한이탈주민 사회보장수급권의  법적 쟁점. 한국법제연구원.
공저(2017). 대학 내 사회봉사단 운영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대.
책임(2017). 사학연금 재정목표 및 재정지표에 관한 기초연구: 해외 직역연금 사례를 중심으로.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공저(2017). 통일한국의 경제정책: 노동 및 사회보장.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7). 통일 이후 북한 지역 사회보장제도: 통합기 단일체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7). 보육체계 통합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7). 사회보장제도 통합을 위한 복지재정추계 및 재원조달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7). 통일의 인구・보건・복지 통합 쟁점과 과제. 경제인문사회연구원.
책임(2017). 북한 노후소득보장 제도 및 실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공저(2016). 통일 이후 북한지역 사회보장제도: 과도기 이중체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6). 남북한 사회복지 통합 쟁점과 정책과제: 북한의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6). 복지제도 적용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공저(2015). 주요 동유럽 체제전환 국가의 경제사회적 성과 비교: 동독, 체코, 헝가리, 폴란드를 중심으로. 국민연금연구원.
공저(2015). 통일한국의 사회보장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Ⅲ.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5). 공적연금제도와 고령자 고용정책의 보완적 발전방안. 국민연금연구원.
공저(2015). 복지정책에 관한 국민인식 조사 및 분석 연구. 국민경제자문회의.
공저(2014). 북한 사회보장과 연금 제도 운영 실태 분석. 국민연금연구원.
책임(2014). 광주시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욕구 조사. 광주광역시.
책임(2014). 통일한국의 사회보장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2). 사회정책 욕구 및 인식 조사. 한국조세연구원.
공저(2010). 새로운 복지지표체계 발굴 및 정책과의 연계방안. 보건복지부.
공저(2010). 이동보훈복지서비스 실태분석 및 평가를 통한 역할 재정립에 관한 연구. 보훈교육연구원.
공저(2009). 복지서비스의 다양화를 통한 보훈복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보훈교육연구원.



▶ 학술논문 
민기채(2024).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에 기초한 외국인주민 지원 조례 비교 연구. 현대사회와 다문화, 14(1), 29-57.
민기채(2024). 최초의 웰빙 예산, 뉴질랜드 웰빙 예산의 목표와 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과국제사회, 8(1), 433-455.
민기채(2024). 노동자 건강증진 조례 비교 연구. GRI연구논총, 26(1), 57-82.
민기채(2024). 북한이탈주민 위기가구 사회보장수급권 개선 방안. 한국과 세계, 6(1), 239-263.
민기채(2023). 다문화가족 지원 조례 비교 연구. 다문화콘텐츠연구, 46, 225-250.
민기채(2023). 청년주거 지원 조례 비교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총, 27(3), 13-32.
민기채(2023).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주민 인권관련 조례 비교 연구. 다문화와 평화, 17(3), 160-183.
민기채(2023). 중대재해 예방 및 관리 조례 비교 연구. 지역정책연구, 34(3), 111-130.
민기채(2023). 산업재해 예방 및 노동안전보건 지원 조례 비교 연구. 법제, 703, 13-46.
민기채(2023). 경계선지능 학생 지원 교육청 조례 비교 연구. 장애인복지연구, 14(2), 1-36.
민기채(2023). 한국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균열구조와 과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주주의와 인권, 23(4), 179-226.
민기채(2023).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조례 비교 연구. 통일과 법률, 56, 77-103.
민기채(2023). 경계선지능인 지원 조례 비교 연구. 장애와 고용, 33(4), 195-229.
민기채(2023).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지원 조례 비교 연구. GRI연구논총, 25(4), 57-82.
민기채(2023).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 비교 연구. 대구경북연구, 22(2), 131-166.
민기채(2023). 카자흐스탄 복지국가 사례 연구: 복지 자본주의로의 수렴인가 탈사회주의 복지국가로의 이행인가. 국제지역연구, 32(3), 1-46.
민기채(2023). 농어민수당 조례 비교를 통한 개선 방안 도출 연구. 농촌경제, 46(3), 1-31.
민기채(2023). 청년주거 지원 조례 비교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총, 27(3), 15-35.
민기채(2023). 사회적 고립청년 지원 조례에 관한 비교 연구 . GRI연구논총, 25(3), 227-248.
민기채(2023). 카자흐스탄 건강보장제도의 변화: 세마스코에서 사회보험으로. 인문사회21, 14(1), 2283-2393.
민기채, 김도윤(2023). 체제전환 이후 발틱 3국의 실업과 빈곤, 그리고 사회정책적 대응. 동유럽발칸연구, 47(1), 141-169.
민기채, 고혜진(2023). 세계기아지수를 활용한 북한의 지역 간 불평등의 변화. 문화와 정치, 8(4), 97-123.
Ko, Hyejin & Min, Kichae(2022). Condition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Post-Socialist Welfare States. Problemy Polityki Społecznej((Social Policy Issues), 56(2), 89-105.
민기채(2022). 폴란드 연금개혁 : 민영화에서 재공영화로. 국제지역연구, 31(3), 43-78.
민기채, 김승혜(2022).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에 따른 소득공백 완화 방안 연구. 인문사회21
13(1), 879-894. 
민기채(2021). 기업복지격차 완화를 위한 법정외복지의 제도적 개선방안. 문화와정치, 8(4), 39-71.
고혜진, 민기채(2021). 아시아 체제전환국의 사회보장체계 변화: 동남아 4개국과 유럽 체제전환국의 차이를 중심으로. 아시아리뷰, 11(3), 243-272.
민기채 외(2021). 다문화가족 중도입국청소년-대학생 멘토링에 관한 질적 연구: CIPP 평가모형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37, 241-278.
민기채 외(2021).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기간과 참여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32(3), 3-21.
민기채 외(2021). 충주시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및 교육 지원을 위한 조례개정 방안: 전라남도와 충청북도 그리고 목포시와 충주시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2(2), 1-18.
민기채 외(2021).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32(2), 59-78
민기채(2021).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조례 개정 방안: 경기도와 충청북도 및 안산시와 충주시 비교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1(1), 1-21.
민기채(2020). 한국 복지국가운동의 계승과 혁신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주주의와 인권, 20(4), 81-120.
민기채, 김은종, 서관욱, 손소정, 이준민, 임종건(2020). 이주민의 언어교육 강화를 위한 법률 개정 방안: ‘일본어교육추진법(2019)’ 비교를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14(3), 248-264
민기채(2020). 고령 북한이탈주민 복지욕구 및 제도 개선방안. 인문사회21, 11(6), 2295-2308
민기채, 고대영, 김은수, 이효은, 박은경, 박종범, 주희지(2020). 다문화가족의 의사소통 강화를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조례 개정 방안: 다문화가족지원법, 경기도와 충청북도, 안산시와 충주시 비교를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35, 159-183.
민기채(2020). 북한 소득보장 용어의 변천에 관한 연구: 1936-2013. 문화기술의 융합, 6(4), 1-8.
민기채(2020). 쿠바 공적연금의 제도, 효과, 그리고 성격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11(5), 877-891.
민기채(2020). 헝가리 법정 민간연금제도의 구조적 전환. 인문사회21, 11(4), 275-290.
김선숙, 고대영, 김혜원, 조요셉, 최성은, 민기채(2020).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계층의식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31(3), 59-78.
Min, Kichae(2020).  Study of the Change of Pension System in Romania: Pre-socialism, Socialism, Post-socialism. Test Engineering & Management, May-June, 13014-13023.
민기채, 조성은, 최소영(2019). 북한 영유아·아동 지원사업 네트워크 분석. 입법과 정책, 10(3), 1-27.
Ko, Hyejin & Min, Kichae(2019). Determinants of Social Expenditures in Post-Socialist Countries. Economics & Sociology, 12(2), 253-264.
민기채(2019). 남북회담 공적의제 성격 분석 및 선정 과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보장 분야를 중심으로(1971-2018). 입법과 정책, 11(2), 5-31.
민기채, 조성은, 한경훈(2019). 북한 로동능력상실년금 제도와 실태에 관한 연구. 문화와 정치, 6(1), 153-197.
민기채(2019). 독일 국민연금의 재정계산에 관한 연구: 제도, 목표, 지표를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16(1), 25-43.
민기채(2019).  반(半)국적 관점을 넘어 전국적 관점에서의 한반도 평화복지체제를 위한 필요조건 탐색. 비판사회정책, 62, 93-129.
조성은, 민기채, 한경훈, 주경희(2019). 북한 노인의 경제활동과 소득보장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10(1), 1-14.
민기채(2018). 국민연금 재정계산제도의 법적 쟁점. 입법과 정책, 10(3), 301-325.
민기채, 고혜진(2018). 북한 식량공급제 전달체계의 특징에 관한 연구. 문화와 정치, 5(3), 5-36.
Min, Kichae & Ko, Hyejin(2018). Changes in the North Korean Welfare System: A Comparison of the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Un Eras. North Korean Review, 14(2), 46-63.
민기채,이규성(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비대면 국민연금서비스에 관한 연구. 문화기술의 융합, 5(3), 5-36.
민기채, 조성은, 한경훈(2018). 북한 년로년금의 제도와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0, 135-175.
민기채, 조성은, 한경훈(2018). 북한 공로자년금의 제도와 실태에 관한 연구. 통일과 평화, 10(1), 231-276.
민기채, 조성은, 한경훈(2018). 북한의 인체보험 제도와 실태. 통일연구, 22(1), 175-209.
민기채, 고혜진(2018). 북한이탈주민 사회보장수급권의 법적 쟁점. 입법과 정책, 10(1), 239-258.
고혜진, 민기채, 박정순, 한경훈, 김예슬(2018). 고령 북한이탈주민 사회보장제도 활용의 제약요인 및 접근성 제고 방향. 한국사회정책, 25(1), 161-19.
민기채, 주보혜(2018). 통일 후 북한지역 생계급여 적용방안 및 재정추계에 관한 연구: 통독 전후 생계부조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34(1), 1-27
민기채, 주보혜(2018). 통일 후 남북한 보육서비스 통합에 관한 연구: 독일 보육서비스 통합 경험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1(5), 77-106.
민기채(2017). 북한 사회주의 복지체제와 기본소득의 제도적 친화성에 관한 연구. 입법과 정책, 9(3), 455-480.
민기채, 주보혜(2018). 통일독일의 동독 주거보조금 경험에 기초한 통일 이후 북한 지역의 주거급여 적용방안 연구. 보건사회연구, 37(4), 564-600.
정인영, 민기채(2017). 국민연금의 고령근로 유인기제 개선방안 연구. 사회복지정책, 44(3), 39-68..
민기채, 송창길, 이재은(2017). 국민연금제도의 부양가족연금 재정추계 및 수급요건 개선방안 연구. 입법과 정책, 9(2), 5-29.
고혜진, 민기채, 이정화(2017). 복지인식에 대한 사회서비스 접근성의 매개효과 분석. 입법과 정책, 9(2), 299-323. 
민기채, 민진영(2017). 프랑스의 고령근로 활성화 정책 연구. 한국프랑스학논집, 99, 255-286.
조성은, 민기채(2017). 북한 노후소득보장에서 가족의 역할에 대한 연구: 김일성 시대와 김정일 시대의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56, 135-167.
민기채, 주보혜(2016). 체제전환 전후 동독 특별․부가 연금제도의 변화: 통일 이후 북한 특권층 연금제도의 통합 시나리오 및 방향. 보건사회연구, 36(3), 516-552.
민기채, 유현경(2016). 주요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국들의 경제사회적 성과 비교. 동유럽발칸연구, 40(2), 129-160.
천청청, 민기채(2016). 중국 양로보험제도의 운영방식 개혁과정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6(1), 377-409.
민기채(2015). 슬로베니아 복지체제의 성격변화와 발전요인에 관한 연구: 연금정책과 건강정책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연구, 39(2), 221-252.
민기채(2014). 체제전환 이전의 리투아니아 사회정책에 관한 연구: 사회주의 이전 시대와 사회주의 시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0(4), 455-475.
민기채(2014).북한의 생태 이데올로기 및 실천에 관한 고찰. 통일문제연구, 26(2), 259-291.
민기채(2014). 폴란드 복지체제의 변화에 관한 연구: 사회주의 이전, 사회주의 시대, 사회주의 이후 비교. 국제지역연구, 18(4), 53-82.
민기채(2014). 폴란드 연금 제도의 성격 변화에 관한 연구: 비스마르키언 전통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연구, 38(5), 259-294. 
민기채(2014).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의 사회과학적 활용: Stata를 활용한 Y-검증과 N-검증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44, 223-259.
민기채(2014). 리투아니아 사회복지정책의 특징에 관한 연구. 동유럽발칸연구, 38(4), 163-199.
Min, Kichae & Kim, Young-mi(2014). Network analysis of welfare politics in Korea: Focusing on social insurance legislation in the 18th National Assembly. Korean Social Science Review, 4(1), 279-318.
민기채(201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가족관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중차이모델 분석. 한국노년학, 31(4), 999-1014.
민기채(2011). 북한 사회복지 연구 동향. 사회복지연구, 42(3), 5-32.
민기채(2011). 조손가구 이전소득의 빈곤감소 효과: 조손가구, 독거노인가구, 노인부부가구, 자녀동거가구 비교. 한국노년학, 31(2), 333-353.
민기채(2011). 조손가족 조부모의 소득구성원과 총소득 결정요인. 한국노년학, 30(2), 323-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