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교수진

교수소개

본문 시작

Professor
  • 민기채교수 이미지
    민기채 교수
    • 직책 교수
    • 전공분야 사회복지정책
    • 연구실 화학생명관 217호
    • 연락처 Tel : 043-849-1765
      E-mail minkichae@ut.ac.kr

직책

교수

 

학력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경제학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박사, 석박사통합과정)

 

담당과목

복지국가론,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사회복지역사,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조사론, 산업복지론, 통일복지론

 

연구분야

통일, 북한, 비교사회정책, 복지국가, 체제전환국 복지국가, 연금, 노인복지

 

경력

2009.09 - 2012.02 서울대학교 핵심교양수업 강의조교

2010.03 - 2012.04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구원

2011.11 - 2014.02 서울대학교 사회대 연구방법론 상담실 상담컨설턴트

2013.04 - 2014.02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doctoral fellow

2011.09 - 2015.02 대학강사(서울대, 서울사이버대, 서울시립대, 전북대 등)

2014.03 - 2015.03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선임연구원

2015.07 - 2017.01 국민연금연구원 부연구위원

2017.02 - 2021.01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조교수

2018.01 - 2022.12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주임교수

2018.01 - 2022.12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주임교수

2020.12 - 2022.11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소장

2023.01 2023.12 Research Associate, The Public Policy Institute, The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aland

2021.02 2025.02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2025.02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학술저서

공저(2025).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사회평론아카데미.

공저(2024). 행복 및 삶의 질 측정과 정책 활용성 제고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23). The Secrets and Evolving Trends of Korean Longev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공저(2023). 북한이탈주민 위기가구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책임(2022). 외국인근로자 가족-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공저(2022). 노후보장성 강화를 위한 연금제도개선 방안.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

공저(2022). 21세기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복지국가의 제도 개혁 사례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22). 아시아 사회보장제도 비교연구: 몽골과 중앙아시아 주요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21). 한국의 백세인 20년의 변화: 구곡순담 장수벨트를 중심으로. 군자출판사.

공저(2021). 북한이탈주민 포용을 통한 사회통합 제고 방안. 이북5도위원회.

공저(2021). 진천군 3차년도 지역사회통합돌봄 선도사업 모니터링 및 효과성분석. 진천군.

공저(2021). 남북한 사회격차 완화를 위한 북한의 의식주 생활 지표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책임(2021). 충주시 제5(2023-2026) 지역사회보장계획. 충주시.

책임(2021). 이머징 국가 대상 국민연금 글로벌협력사업중장기 로드맵 구축. 국민연금공단.

공저(2021). 재난대응 아동보호 매뉴얼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아동권리보장원.

공저(2020). 사회복지정책론: 분석틀과 선택의 차원. 지식공동체.

책임(2020). 충주시 다문화가족 중도입국청소년-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공저(2020). 아시아 체제 전환국 사회보장체계 연구: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20). 남북 간 사회격차 완화를 통한 한반도 평화복지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9). 통일과 사회복지. 나남.

공저(2019). 국민연금 현 복지사업 평가와 발전 방안 연구. 국민연금공단.

공저(2019). 충주시 다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 복지욕구조사. 한국교통대학교.

공저(2019). 남북 복지 분야 교류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책임(2019). 공무원연금 소득공백 해소방안 연구.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책임(2019). 대기업-중소기업간 복지 격차 현황 및 완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총중앙연구원.

공저(2018). 남북 당국 간의 보건복지 공적 의제의 분석과 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8). 국민연금 기금소진인식의 형성배경과 극복방안. 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

공저(2018). 남북한 보건복지 제도 및 협력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8).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 네트워크 구조와 발전 방안: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책임(2017). 고령 북한이탈주민 사회보장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남북하나재단.

책임(2017). 북한이탈주민 사회보장수급권의 법적 쟁점. 한국법제연구원.

공저(2017). 대학 내 사회봉사단 운영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대.

책임(2017). 사학연금 재정목표 및 재정지표에 관한 기초연구: 해외 직역연금 사례를 중심으로.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공저(2017). 통일한국의 경제정책: 노동 및 사회보장.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7). 통일 이후 북한 지역 사회보장제도: 통합기 단일체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7). 보육체계 통합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7). 사회보장제도 통합을 위한 복지재정추계 및 재원조달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7). 통일의 인구보건복지 통합 쟁점과 과제. 경제인문사회연구원.

책임(2017). 북한 노후소득보장 제도 및 실태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공저(2016). 통일 이후 북한지역 사회보장제도: 과도기 이중체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6). 남북한 사회복지 통합 쟁점과 정책과제: 북한의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6). 복지제도 적용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공저(2015). 주요 동유럽 체제전환 국가의 경제사회적 성과 비교: 동독, 체코, 헝가리, 폴란드를 중심으로. 국민연금연구원.

공저(2015). 통일한국의 사회보장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5). 공적연금제도와 고령자 고용정책의 보완적 발전방안. 국민연금연구원.

공저(2015). 복지정책에 관한 국민인식 조사 및 분석 연구. 국민경제자문회의.

공저(2014). 북한 사회보장과 연금 제도 운영 실태 분석. 국민연금연구원.

책임(2014). 광주시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욕구 조사. 광주광역시.

책임(2014). 통일한국의 사회보장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저(2012). 사회정책 욕구 및 인식 조사. 한국조세연구원.

공저(2010). 새로운 복지지표체계 발굴 및 정책과의 연계방안. 보건복지부.

공저(2010). 이동보훈복지서비스 실태분석 및 평가를 통한 역할 재정립에 관한 연구. 보훈교육연구원.

공저(2009). 복지서비스의 다양화를 통한 보훈복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보훈교육연구원.

 

학술논문

민기채 외(2025). 신체장애인 이동권 강화를 위한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조례 비교 연구. 장애와 고용, 35(1), 237-259.

이준호, 민기채(2025).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해아동 보호 조례비교 연구 : 충청북도 및 6개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GRI연구논총, 26(3), 99-123.

민기채(2024). 뉴질랜드 웰빙 예산의 효과: 마오리족과 태평양 지역주민의 웰빙을 중심으로. 문화와정치, 11(4), 81-111.

민기채 외(2024).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외국인근로자 가족-대학생 멘토링 연구. 다문화콘텐츠연구, 50, 6-47.

민기채(2024).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건강도시 조례 분석:이주민 건강보장을 중심으로. 디아스포라연구, 18(2), 213-247.

김성준, 민기채(2024). 광역자치단체 장기요양요원 처우 개선 및 지위 향상 조례 비교 연구. GRI연구논총, 26(3), 99-123.

민기채(2024). 주거기본 조례 비교 연구. 도시연구, 25, 225-271.

민기채(2024).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에 기초한 외국인주민 지원 조례 비교 연구. 현대사회와 다문화, 14(1), 29-57.

민기채(2024). 최초의 웰빙 예산, 뉴질랜드 웰빙 예산의 목표와 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과국제사회, 8(1), 433-455.

민기채(2024). 노동자 건강증진 조례 비교 연구. GRI연구논총, 26(1), 57-82.

민기채(2024). 북한이탈주민 위기가구 사회보장수급권 개선 방안. 한국과 세계, 6(1), 239-263.

민기채(2023). 다문화가족 지원 조례 비교 연구. 다문화콘텐츠연구, 46, 225-250.

민기채(2023). 청년주거 지원 조례 비교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총, 27(3), 13-32.

민기채(2023).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주민 인권관련 조례 비교 연구. 다문화와 평화, 17(3), 160-183.

민기채(2023). 중대재해 예방 및 관리 조례 비교 연구. 지역정책연구, 34(3), 111-130.

민기채(2023). 산업재해 예방 및 노동안전보건 지원 조례 비교 연구. 법제, 703, 13-46.

민기채(2023). 경계선지능 학생 지원 교육청 조례 비교 연구. 장애인복지연구, 14(2), 1-36.

민기채(2023). 한국 사회복지 연대운동의 균열구조와 과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주주의와 인권, 23(4), 179-226.

민기채(2023).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조례 비교 연구. 통일과 법률, 56, 77-103.

민기채(2023). 경계선지능인 지원 조례 비교 연구. 장애와 고용, 33(4), 195-229.

민기채(2023).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지원 조례 비교 연구. GRI연구논총, 25(4), 57-82.

민기채(2023).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 비교 연구. 대구경북연구, 22(2), 131-166.

민기채(2023). 카자흐스탄 복지국가 사례 연구: 복지 자본주의로의 수렴인가 탈사회주의 복지국가로의 이행인가. 국제지역연구, 32(3), 1-46.

민기채(2023). 농어민수당 조례 비교를 통한 개선 방안 도출 연구. 농촌경제, 46(3), 1-31.

민기채(2023). 청년주거 지원 조례 비교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총, 27(3), 15-35.

민기채(2023). 사회적 고립청년 지원 조례에 관한 비교 연구 . GRI연구논총, 25(3), 227-248.

민기채(2023). 카자흐스탄 건강보장제도의 변화: 세마스코에서 사회보험으로. 인문사회21, 14(1), 2283-2393.

민기채, 김도윤(2023). 체제전환 이후 발틱 3국의 실업과 빈곤, 그리고 사회정책적 대응. 동유럽발칸연구, 47(1), 141-169.

민기채, 고혜진(2023). 세계기아지수를 활용한 북한의 지역 간 불평등의 변화. 문화와 정치, 8(4), 97-123.

Ko, Hyejin & Min, Kichae(2022). Condition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Post-Socialist Welfare States. Problemy Polityki Społecznej((Social Policy Issues), 56(2), 89-105.

민기채(2022). 폴란드 연금개혁 : 민영화에서 재공영화로. 국제지역연구, 31(3), 43-78.

민기채, 김승혜(2022).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에 따른 소득공백 완화 방안 연구. 인문사회21

13(1), 879-894.

민기채(2021). 기업복지격차 완화를 위한 법정외복지의 제도적 개선방안. 문화와정치, 8(4), 39-71.

고혜진, 민기채(2021). 아시아 체제전환국의 사회보장체계 변화: 동남아 4개국과 유럽 체제전환국의 차이를 중심으로. 아시아리뷰, 11(3), 243-272.

민기채 외(2021). 다문화가족 중도입국청소년-대학생 멘토링에 관한 질적 연구: CIPP 평가모형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37, 241-278.

민기채 외(2021).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기간과 참여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32(3), 3-21.

민기채 외(2021). 충주시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및 교육 지원을 위한 조례개정 방안: 전라남도와 충청북도 그리고 목포시와 충주시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2(2), 1-18.

민기채 외(2021).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32(2), 59-78

민기채(2021).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조례 개정 방안: 경기도와 충청북도 및 안산시와 충주시 비교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1(1), 1-21.

민기채(2020). 한국 복지국가운동의 계승과 혁신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주주의와 인권, 20(4), 81-120.

민기채, 김은종, 서관욱, 손소정, 이준민, 임종건(2020). 이주민의 언어교육 강화를 위한 법률 개정 방안: ‘일본어교육추진법(2019)’ 비교를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14(3), 248-264

민기채(2020). 고령 북한이탈주민 복지욕구 및 제도 개선방안. 인문사회21, 11(6), 2295-2308

민기채, 고대영, 김은수, 이효은, 박은경, 박종범, 주희지(2020). 다문화가족의 의사소통 강화를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조례 개정 방안: 다문화가족지원법, 경기도와 충청북도, 안산시와 충주시 비교를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35, 159-183.

민기채(2020). 북한 소득보장 용어의 변천에 관한 연구: 1936-2013. 문화기술의 융합, 6(4), 1-8.

민기채(2020). 쿠바 공적연금의 제도, 효과, 그리고 성격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11(5), 877-891.

민기채(2020). 헝가리 법정 민간연금제도의 구조적 전환. 인문사회21, 11(4), 275-290.

김선숙, 고대영, 김혜원, 조요셉, 최성은, 민기채(2020).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계층의식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31(3), 59-78.

Min, Kichae(2020). Study of the Change of Pension System in Romania: Pre-socialism, Socialism, Post-socialism. Test Engineering & Management, May-June, 13014-13023.

민기채, 조성은, 최소영(2019). 북한 영유아·아동 지원사업 네트워크 분석. 입법과 정책, 10(3), 1-27.

Ko, Hyejin & Min, Kichae(2019). Determinants of Social Expenditures in Post-Socialist Countries. Economics & Sociology, 12(2), 253-264.

민기채(2019). 남북회담 공적의제 성격 분석 및 선정 과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보장 분야를 중심으로(1971-2018). 입법과 정책, 11(2), 5-31.

민기채, 조성은, 한경훈(2019). 북한 로동능력상실년금 제도와 실태에 관한 연구. 문화와 정치, 6(1), 153-197.

민기채(2019). 독일 국민연금의 재정계산에 관한 연구: 제도, 목표, 지표를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16(1), 25-43.

민기채(2019). ()국적 관점을 넘어 전국적 관점에서의 한반도 평화복지체제를 위한 필요조건 탐색. 비판사회정책, 62, 93-129.

조성은, 민기채, 한경훈, 주경희(2019). 북한 노인의 경제활동과 소득보장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10(1), 1-14.

민기채(2018). 국민연금 재정계산제도의 법적 쟁점. 입법과 정책, 10(3), 301-325.

민기채, 고혜진(2018). 북한 식량공급제 전달체계의 특징에 관한 연구. 문화와 정치, 5(3), 5-36.

Min, Kichae & Ko, Hyejin(2018). Changes in the North Korean Welfare System: A Comparison of the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Un Eras. North Korean Review, 14(2), 46-63.

민기채,이규성(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비대면 국민연금서비스에 관한 연구. 문화기술의 융합, 5(3), 5-36.

민기채, 조성은, 한경훈(2018). 북한 년로년금의 제도와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0, 135-175.

민기채, 조성은, 한경훈(2018). 북한 공로자년금의 제도와 실태에 관한 연구. 통일과 평화, 10(1), 231-276.

민기채, 조성은, 한경훈(2018). 북한의 인체보험 제도와 실태. 통일연구, 22(1), 175-209.

민기채, 고혜진(2018). 북한이탈주민 사회보장수급권의 법적 쟁점. 입법과 정책, 10(1), 239-258.

고혜진, 민기채, 박정순, 한경훈, 김예슬(2018). 고령 북한이탈주민 사회보장제도 활용의 제약요인 및 접근성 제고 방향. 한국사회정책, 25(1), 161-19.

민기채, 주보혜(2018). 통일 후 북한지역 생계급여 적용방안 및 재정추계에 관한 연구: 통독 전후 생계부조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34(1), 1-27

민기채, 주보혜(2018). 통일 후 남북한 보육서비스 통합에 관한 연구: 독일 보육서비스 통합 경험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21(5), 77-106.

민기채(2017). 북한 사회주의 복지체제와 기본소득의 제도적 친화성에 관한 연구. 입법과 정책, 9(3), 455-480.

민기채, 주보혜(2018). 통일독일의 동독 주거보조금 경험에 기초한 통일 이후 북한 지역의 주거급여 적용방안 연구. 보건사회연구, 37(4), 564-600.

정인영, 민기채(2017). 국민연금의 고령근로 유인기제 개선방안 연구. 사회복지정책, 44(3), 39-68..

민기채, 송창길, 이재은(2017). 국민연금제도의 부양가족연금 재정추계 및 수급요건 개선방안 연구. 입법과 정책, 9(2), 5-29.

고혜진, 민기채, 이정화(2017). 복지인식에 대한 사회서비스 접근성의 매개효과 분석. 입법과 정책, 9(2), 299-323.

민기채, 민진영(2017). 프랑스의 고령근로 활성화 정책 연구. 한국프랑스학논집, 99, 255-286.

조성은, 민기채(2017). 북한 노후소득보장에서 가족의 역할에 대한 연구: 김일성 시대와 김정일 시대의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56, 135-167.

민기채, 주보혜(2016). 체제전환 전후 동독 특별부가 연금제도의 변화: 통일 이후 북한 특권층 연금제도의 통합 시나리오 및 방향. 보건사회연구, 36(3), 516-552.

민기채, 유현경(2016). 주요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국들의 경제사회적 성과 비교. 동유럽발칸연구, 40(2), 129-160.

천청청, 민기채(2016). 중국 양로보험제도의 운영방식 개혁과정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6(1), 377-409.

민기채(2015). 슬로베니아 복지체제의 성격변화와 발전요인에 관한 연구: 연금정책과 건강정책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연구, 39(2), 221-252.

민기채(2014). 체제전환 이전의 리투아니아 사회정책에 관한 연구: 사회주의 이전 시대와 사회주의 시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0(4), 455-475.

민기채(2014).북한의 생태 이데올로기 및 실천에 관한 고찰. 통일문제연구, 26(2), 259-291.

민기채(2014). 폴란드 복지체제의 변화에 관한 연구: 사회주의 이전, 사회주의 시대, 사회주의 이후 비교. 국제지역연구, 18(4), 53-82.

민기채(2014). 폴란드 연금 제도의 성격 변화에 관한 연구: 비스마르키언 전통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연구, 38(5), 259-294.

민기채(2014).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의 사회과학적 활용: Stata를 활용한 Y-검증과 N-검증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44, 223-259.

민기채(2014). 리투아니아 사회복지정책의 특징에 관한 연구. 동유럽발칸연구, 38(4), 163-199.

Min, Kichae & Kim, Young-mi(2014). Network analysis of welfare politics in Korea: Focusing on social insurance legislation in the 18th National Assembly. Korean Social Science Review, 4(1), 279-318.

민기채(201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가족관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중차이모델 분석. 한국노년학, 31(4), 999-1014.

민기채(2011). 북한 사회복지 연구 동향. 사회복지연구, 42(3), 5-32.

민기채(2011). 조손가구 이전소득의 빈곤감소 효과: 조손가구, 독거노인가구, 노인부부가구, 자녀동거가구 비교. 한국노년학, 31(2), 333-353.

민기채(2011). 조손가족 조부모의 소득구성원과 총소득 결정요인. 한국노년학, 30(2), 323-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