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Professor
-
김미리 교수
- 직책 조교수
- 전공분야 사회복지실천
- 연구실 화학생명관 218호
-
연락처
Tel :
043-849-1763
E-mail mirikim@ut.ac.kr
▶ 학력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Faculty of Science (이학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석사, 박사)
▶ 담당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자원봉사론, 노인복지론
▶ 연구분야
노인복지, 연령통합, 세대연대, 세대갈등, 고령친화환경, 연령주의, 고독, 우울증상, 사회적지지, 노인의 심리사회적 안녕
▶ 경력
2022.09 - 2023.08 이화여자대학교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 박사후연구원
2023.09 - 2024.03 이화여자대학교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 연구교수
2024.04 –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 학술저서
공저(2024). 초고령사회 연령통합적 기반 마련 기초 연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공저(2023). 세대연대: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삶의 방식. 지식터.
공저(2023). 인구구조변화 적응을 위한 지역사회 연령통합 생활환경지표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공저(2021). 연령통합적 사회로의 준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공저(2020). 경로당 실태조사 및 발전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공저(2018). 고령친화도 진단모형도출을 위한 고령친화도시 개념·동향 및 사례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학술논문
김주현, 김미리, 정순둘(2024). 연령민감성 지표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35(1), 191-216.
Chung, Soondool, & Kim, Miri(2023). Age-friendly Environment, Social Support, Sense of Community, and Lonelines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Korea. Aging & Mental Health, 27(7), 1352-1359.
박민선, 정순둘, 김미리(2023). 노인의 외로움 영향요인: 다층모형을 활용한 개인 및 지역 요인 분석. 조사연구, 24(2). 157-193.
정순둘, 김미리(2023). 노후불안척도의 타당화 및 성인 생애주기별 적용가능성 탐색: 청년, 중년, 노년 세대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75(2), 217-243.
Chung, Kyunghee, Chung, Soondool, Kim, Ju-Hyun, Lee, Sunhee & Kim, Miri(202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ge Integration Indicator (AII) in Korea. Social Indicators Research, 166(3), 687-703.
Park, Cherrie & Kim, Miri(2022). Stressors Associated with Older Adults’ Depressive Symptoms During the Pandemic. Does a Caregiving Role Make a Difference?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20(4), 448-464.
Chung, Soondool, Kim, Miri, Auh, Erica. Y & Park, Nan Sook(2021). WHO’s Global Age-Friendly Cities Guide: Its Implications of a Discussion on Social Exclusion among Older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1(18), 8027.
Park, So Young, Kim, Miri & Chung, Soondool(2021). Age-friendly Environment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Adults: The Mediating Effects of Loneliness. Aging & Mental Health, 25(6), 1060-1070.
김미리, 이선희, 정순둘(2020). 연령주의가 세대갈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노인차별과 미디어 이용시간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40(6), 1109-1127.
이선희, 김미리, 정순둘(2019). 청년세대의 연령주의 유형화 및 유형별 특성과 세대통합 및 노인복지정책 인식의 관계. 한국노년학, 39(4), 825-846.
정순둘, 김미리(2019). 서비스지원에 대한 인지와 사회참여가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한국사회복지학, 71(1), 27-46.
김미리, 정순둘(2018).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이용한 연령집단별 연령통합인식에 미치는 영향분석. 조사연구, 19(1), 163-194.
정순둘, 김미리(2017). 고령친화환경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8(2), 121-141.
정순둘, 정주희, 김미리(2016).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이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8(4), 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