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대학원 과정

학사정보

본문 시작

일반대학원

철도융합시스템학과(철도차량시스템공학전공)

Dept. of Railway Vehicle System Engineering

교수진

경력개발 로드맵
경력개발 로드맵에 관한 표로 구분, 진로탐색기(1학년), 경력 개발기(2학년~4학년), 진로 선택기(4학년)에 대한 내용입니다.
번호 직 급 성 명 학 위 전공 담 당 과 목 전 화
1 교 수
Professor
김 철 수
Kim, Chul-Su
공학박사 기계공학 철도차량공학 특론
철도차량 기술표준기술
철도차량 상태진단특론
철도차량기계부품 최적설계
전동차정비 증강현실시뮬레이션
철도차량 디지털전환개론
철도차량 디지털자산관리
전동차부품예지정비특론
철도차량 비선형해석
철도차량해석 특론
031-460-0552
2 교 수
Professor
강 주 석
Kang, Ju-Seok
공학박사 기계공학 철도동역학 특론
응용철도진동학
철도 최적제어
철도응용수치해석
031-460-0553
3 교 수
Professor
이 형 우
Lee, Hyung-Woo
공학박사 전기공학 전기총론
견인전동기제어
특수전기기기
영구자석 견인전동기
철도차량전기응용
전기철도추진특론
철도차량전기
견인전동기설계
031-460-0554
4 부 교 수
Associate
Professor
안 준 선
Ahn, Junsun
공학박사 기계공학 철도 유체역학 특론
유체기계 특론
철도전산응용해석
랜덤데이터 분석
031-460-0555
5 조 교 수
Assistant
Professor
서 지 구
Seo, Ji-Gu
공학박사 기계공학 철도 열역학 특론
철도차량 내연기관공학
철도 탄소 중립
철도차량 추진 시스템 특론
031-460-0556

교과목 소개

경력개발 로드맵
경력개발 로드맵에 관한 표로 구분, 진로탐색기(1학년), 경력 개발기(2학년~4학년), 진로 선택기(4학년)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수
구분
교과목코드 교과목명 교과목명(영문) 교과목개요 학점
공통필수 B6001 논문연구 및 세미나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and Ph.D or Seminar 학위 논문의 연구를 위한 연구계획, 관련 논문의 이론적 고찰, 연구 자료의 수집, 실험 또는 내용의 고찰, 실험결과의 분석 정리 및 논문작성의 능력과 태도를 갖게 하고, 학문적 연구 능력과 논문작성법 및 학습발표의 방법과 능력을 갖추게 한다. 1.
전공선택 B6069 철도차량 설계 특론 Advanced Design of Railway Vehicle 다양한 종류의 철도차량을 구성하는 부품 및 서브시스템에서 피로파손 및 고장메커니즘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응력-수명/변형률-수명/손상허용설계 관점에서 고장해결 및 수명향상을 위한 피로설계를 수행할 수 있는 지식을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082 철도차량 국제표준기술 특론 Overseas Standard Technology of Railway Vehicle 각종 철도차량 품질 및 안전성능에 대한 일본 JIS/JRIS규격과 유럽 기술사양 TSI(Technical Specification for Interoperability)의 EN규격을 이해함으로서, 해외 철도표준기술에 대한 실질적인 엔지니어링 능력을 배양하도록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083 철도차량 유지보수공학특론 Advanced Railway Vehicle Maintenance Engineering 철도차량의 고급화, 고속화 및 전기화되면서 유지보수방법 또한 변화를 하고 있다. 따라서 철도차량의 유지보수 체계 및 검사체계를 새롭게 확보하고  차량의 정보관리를 통한 유지보수, 신개념 검수 및 신 검수체계를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085 철도 유체역학 특론 Advanced Railway fluid mechanics 철도차량의 고속화와 더불어 운행 안전과 효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체역학적 특성에 대한 기초지식과 최신 해석, 시험 기술을 이해한다. 3.
전공선택 B6090 전기총론 Electricity summary 철도차량전기의 이해를 위해 전자기학, 회로이론, 전기기기, 전력전자 등 전반적인 전기의 기본 이론을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심화 학습함. 이 과목을 이수하면 학부과정에서 단편적으로 배운 전기에 대한 개념을 기본부터 좀 더 포괄적, 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음 3.
전공선택 B6091 견인전동기 제어 Traction motor control 전기철도에 사용되는 직류전동기, 유도전동기, 동기전동기 등 다양한 견인전동기의 운전 특성에 맞는 제어기법 및 전기에너지를 제어/변환시킬 수 있는 전력변환회로, 전력용 반도체 소자 특성을 이해하고, 회로의 설계, 해석 및 제어에 대하여 학습함. 전기기기 및 전력전자의 기초지식이 필요하며 이 과목을 이수하면 다양한 견인전동기의 제어에 대하여 이해함 3.
전공선택 B6095 철도차량전기 Railway Vehicle electric device 전철변전소로부터 차량견인전동기에 이르기까지 사용되는 전차선, 팬터그라프, 지붕장치, 변압기, 전력변환장치 및 보호장치 등 다양한 전기부품의 분류 및 특성을 파악하고, 상호간 인터페이스를 고찰하여 전기철도를 심화 학습함. 기초전기전자, 회로이론, 전력전자 및 전기기기의 기초지식이 필요하며 이 과목을 이수하면 전력원으로부터 차량응용까지 전기철도의 전체 흐름을 이해함 3.
전공선택 B6096 철도차량전기응용 Advanced Railway Vehicle Electricity 철도차량전기의 심화과정으로 전기철도에 사용되는 전기장치의 구성, 특징 및 동작원리의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 기술선도형 전기철도의 응용을 심화 학습함. 무선전력전송, 반도체 변압기, 다상 시스템, 전기제빙 등 현재 상용화 전단계로 연구되고 있는 다양한 철도의 전기응용분야를 이해하여 현장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학습함 3.
전공선택 B6097 전기철도추진 특론 Advanced Electric Train Propulsion System 다양한 전기철도차량의 기초지식이 필요하며, 각종 전기철도 추진시스템의 특성 및 동작원리를 바탕으로, 하이퍼튜브, 급곡선 주행철도, 각륜구동추진, 전폐형 전동기 등 새로이 연구되는 전기철도 추진시스템에 대하여 학습함. 본 과목을 이수하면, 최신 연구개발 기술동향을 파악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학습함 3.
전공선택 B6098 견인전동기 설계 Design of Traction Motor 전기철도에 사용되는 직류전동기, 유도전동기, 동기전동기, 영구자석기기 등 다양한 견인전동기의 운전 특성에 맞는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기법을 학습함. 설계된 전동기의 전자계해석을 통하여 토크, 기전력, 자속포화, 효율 등을 분석하고 재설계하는 능력을 함양함. 전기기기 및 전력전자의 기초지식이 필요하며 이 과목을 이수하면 다양한 견인전동기의 설계가 가능함 3.
전공선택 B6099 철도차량시뮬레이션 Railway Vehicle Simulation and Application 견인 및 제동장치, 대차, 철도차량 주행메커니즘을 폭넓게 이해하고, 철도차량 주행장치의 설계를 위한 기본적인 차량역학 및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하여 철도차량 시뮬레이션 패키지를 활용할 수 있다. 3.
전공선택 B6100 전동차 부품 설계 특론 Advanced Design of EMU Component 전기동차 기계류와 전기 부품의 기술사양을 이해하기 위하여 각 설계 원리와 규격을 이해한다. 도시철도 운영기관에서 제시하는 각 전장품 및 기계부품의 요구사항과 해외 전동차 발주사양에서 제시하는 기술사양을 이해한다. C.B.M.(Condition Based Maintenance)관점의 유지보수 편의성을 고려한 각 부품의 최신 자가 진단 기능을 이해한다. 3.
전공선택 B6101 철도 열역학 특론 Advanced Railway Thermodynamics 철도차량 동력 전달 메커니즘 관련 증기동력 사이클, 가스엔진 및 가스터빈 사이클, 냉동사이클, 공기압축 사이클, 연소과정 등과 열전달에 대해 이해한다. 3.
전공선택 B6229 철도차량공학 특론 Advanced Railway Vehicle Engineering 다양한 종류의 철도차량을 부품, 구성품 및 서브시스템에서 파손 및 고장메커니즘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다양한 설계 관점에서 고장해결 및 수명향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31 스마트 철도차량 유지보수론 Smart Railway Vehicle Maintenance 철도차량의 고급화, 고속화 및 전기화되면서 유지보수방법 또한 변화를 하고 있다. 따라서 철도차량의 유지보수 체계 및 검사체계를 새롭게 확보하고  차량의 정보관리를 통한 유지보수, 신개념 검수 및 신 검수체계를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32 전동차 부품 상태진단 특론 Condition base Maintenace of EMU Component 전기동차 기계류와 전기 부품의 기술사양을 이해하기 위하여 각 설계 원리와 규격을 이해한다. 도시철도 운영기관에서 제시하는 각 전장품 및 기계부품의 요구사항과 해외 전동차 발주사양에서 제시하는 기술사양을 이해한다. C.B.M.(Condition Based Maintenance) 관점의 유지보수 편의성을 고려한 각 부품의 최신 자가 진단 기능을 이해한다. 3.
전공선택 B6233 기계학습과 공업수학 Machine Learing and Engineering Mathematics 상태기반 철도차량 유지보수를 학습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즘 기반 고장진단과 예지를 평가하기 위한 확률/통계와 선형대수론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학습하고, 관련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직접 응용사례를 실습한다. 3.
전공선택 B6234 철도 최적제어 Railway optimal control 최적제어이론에 대한 최신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하여 주행에너지 및 주행시간을 최적화하는 철도차량의 최적제어에 대해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35 철도 동역학 특론 Advanced railway dynamics Newton-Euler 식과 에너지 방법을 이용하여, 구속조건을 가진 기계계에 대한  동역학 해석 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한 전산 동역학 해석을 학습하고 철도 차량 동역학에 응용한다. 3.
전공선택 B6236 유체 기계 특론 Fluid Machinery 수력기계, 기체기계와 같은 유체를 이용하여 에너지의 변환을 이루는 기계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37 랜덤데이터 분석 Random Data Analysis 실험, 수치 계산 및 현장에서 얻어지는 무작위적 데이터들 사이 관계를 분석하는 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38 영구자석형 전동기 설계 특론 Advanced Permanent Magnet Traction Motor Design 최신 자동차 및 전기철도차량에 사용되어지는 영구자석 견인전동기의 이해를 위해, PMSM의 개념 및 원리, 동작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PMSM 중 SPM(표면자석부착형) 타입과 IPM(매입자석형) 타입의 모델 설계 및 다물리 해석 기법을 통한 특성 분석을 통하여 영구자석 견인전동기 응용에 대하여 심화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39 철도전철전력시스템 특론 Advanced Railway Power System 전동차나 고속철도 등의 전기철도시스템에 있어서, 전철 전력 분야의 핵심적인 기술 사항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직류급전계통, 교류급전계통 및 전차선 설비에 대한 지식을 이해하고, 최근의 무선전력전송 최신 기술을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40 특수 전기기기 특론 Advanced Special electric machinery 리니어전철, 중저속 및 초고속 자기부상열차, 하이퍼루프 등에 사용되는 비점착구동방식의 선형전동기에 대하여 학습함. 일반적인 회전형 견인전동기와 다른 선형전동기의 특징, 장단점, 구동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응용하여 새로운 전기철도 추진시스템의 개발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함 3.
전공선택 B6241 철도신교통시스템 특론 Advanced New Railroad Transportation System 기존 궤도식 철도로 커버할 수 없는 새로운 교통 분야의 담당을 목표로 한 신교통수단인 트램, Monorail, 리니어전철, 자기부상열차, LIM, PRT, Tube 열차 등의 기본적인 차량 이론 및 운영 특징에 대하여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80 철도차량 기술표준 Standard Technology of Railway Vehicle 각종 고속, 일반, 도시 철도차량 품질 및 안전성능에 대한 유럽 기술사양 TSI(Technical Specification for Interoperability)과 해외 규격을 이해하고, 국내 철도차량 기술기준에 대한 심도있게 이해하도록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81 철도차량 상태진단 특론 Advanced CBM of Railway Vehicle 철도차량 전장품과 기계류 부품의 설계요구사항과 해외 발주사양을 이해한다. 이들의 상태진단(Condition Based Maintenance, CBM)에 요구되는 각 부품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82 철도차량 기계부품 최적 설계 Optimal Design of Railway Vehicle Mechnical Parts 철도차량을 기계류 부품의 고장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설계능력을 배양한다. 최근 최적 설계 알고리즘을 이용한 해석 시뮬레이션 기법을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83 전동차정비 증강현실 시뮬레이션 Augmented Reality Simulation of EMU maintenanceEMU Component 전기동차 기계류와 전기 부품의 기술사양을 이해하고, 증강현실 툴을 이용하여 각 정비절차에 맞는 디지털 콘텐츠 개발 기법을 익힌다. 3.
전공선택 B6284 철도차량 디지털 전환개론 Railway Vehicle Digital Transformation 철도차량 정비의 디지털화에 적합한 철도차량의 유지보수 체계 및 검사체계를 새롭게 확보하고 차량의 정보관리를 통한 유지보수, 신개념 검수 및 신 검수체계를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85 철도차량 디지털 자산관리 Digital Asset of Railway Vehicle Maintenance 최근 철도차량 산업에 도입중인 디지털 트윈에 적합한 동적 차량 정비 공정관리 기법과 자산관리 관련이론을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86 전동차 부품 예지 정비 특론 Predictive Maintenace of EMU Component 전동차 기계류와 전기 부품의 기술사양과 규격을 이해한다.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오버홀 주기 증가를 위한 잔존수명평가 기법을 이해한다. 3.
전공선택 B6287 철도차량 비선형해석 Railway Vehicle Nonlinear Analysis 철도차량 차체와 주행장치 설계를 위한 기본적인 차량역학 및 원리를 이해하고 비선형 해석 시뮬레이션 패키지를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88 자기부상 시스템 특론 Advanced Maglev System 레일 위를 일정 공극으로 떠서 주행하는 자기부상 방식에 대해 이해하고, 자기부상이 적용된 다양한 자기부상열차와 하이퍼루프 시스템의 기본 구성과 요구사항 및 특징에 대해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89 철도차량 내연기관공학 Rail Vehi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Engineering 철도 차량에 사용되는 내연기관의 원리와 구조, 성능 분석 방법을 학습한다. 주요 엔진의 작동 메커니즘, 사이클 분석, 연료 시스템, 배출가스 처리 기술 등을 포함한다. 3.
전공선택 B6290 철도 탄소 중립 Railway Carbon Neutrality 철도 산업에서의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재생 가능 에너지, 에너지 효율화 기술을 다룬다. 최신 에너지 혁신 기술, 탄소 절감 기술 등 철도 분야에 적용 가능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을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91 철도차량 추진 시스템 특론 Advanced Railway Vehicle Propulsion Systems 철도차량의 신기술 추진 시스템에 대해 학습한다. 배터리, 슈퍼캐퍼시터,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수소엔진 등 다양한 에너지 저장장치 및 첨단 추진 기술의 원리와 적용을 탐구하며, 에너지 효율성과 환경 영향을 고려한 철도차량 추진 시스템에 대해 학습한다. 3.
전공선택 B6292 열전달 특론 Heat transfer 열전달의 3가지 메커니즘인 전도, 대류 및 복사에 대해 학습하고, 다양한 열전달 문제 해결을 통해 설계 요소를 이해하여, 열 시스템 설계에 적용한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