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맥신-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리뷰 논문, 엔지니어링·전기/코팅 소재 상위저널 ‘Nano-Micro Letters’ 게재
- 조회 : 385
- 등록일 : 2023-06-10
[맥신-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리뷰 논문, 엔지니어링·전기/코팅 소재 상위저널 ‘Nano-Micro Letters’ 게재]
국립한국교통대학교(총장 윤승조) 나노고분자공학전공 인인식 교수 연구팀이 인하대학교 박수진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논문 ‘A Review on Interface Engineering of MXenes for Perovskite Solar Cells’를 ‘Nano-Micro Letters’에 게재했다.
인인식 교수를 교신저자로 게재한 이번 논문은 태양전지 연구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양전지에서의 구조적 위치에 따른 맥신(MXene)의 역할과 계면 간의 상호 작용 등을 정리하여 향후 연구에 대한 중요한 지침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성과는 교육부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사업단장 인인식 교수)의 지원을 통하여 수행되었으며, 세계적인 출판사 스프링거(Springer)에서 발간하며 JCR 전기/전자 공학 상위 1%, 전자/광학 재료 상위 3 %, 표면/코팅 재료 상위 2%에 해당하는 매우 권위 있는 학술지인 ‘Nano-Micro Letters’ (Impact factor: 23.655)에 3월 6일자로 온라인판 게재되었다.
특히, 인인식 교수가 단장으로 있는 화학산업연구소(중점연구소)의 G. Murali 박사가 공동 제1 저자로 논문 게재를 주도하였다.
국립한국교통대학교(총장 윤승조) 나노고분자공학전공 인인식 교수 연구팀이 인하대학교 박수진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논문 ‘A Review on Interface Engineering of MXenes for Perovskite Solar Cells’를 ‘Nano-Micro Letters’에 게재했다.
인인식 교수를 교신저자로 게재한 이번 논문은 태양전지 연구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양전지에서의 구조적 위치에 따른 맥신(MXene)의 역할과 계면 간의 상호 작용 등을 정리하여 향후 연구에 대한 중요한 지침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성과는 교육부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사업단장 인인식 교수)의 지원을 통하여 수행되었으며, 세계적인 출판사 스프링거(Springer)에서 발간하며 JCR 전기/전자 공학 상위 1%, 전자/광학 재료 상위 3 %, 표면/코팅 재료 상위 2%에 해당하는 매우 권위 있는 학술지인 ‘Nano-Micro Letters’ (Impact factor: 23.655)에 3월 6일자로 온라인판 게재되었다.
특히, 인인식 교수가 단장으로 있는 화학산업연구소(중점연구소)의 G. Murali 박사가 공동 제1 저자로 논문 게재를 주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