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교통대학교 웹사이트 입니다.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onnect KNUT

본문 시작

국립한국교통대학교 반도체신소재공학과 학부생,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Ceramics International’에 제1저자 논문 게재

  • 조회 : 534
  • 등록일 : 2025-03-11
2024 언론속 KNUT 업로드 양식.jpg ( 88 kb)
국립한국교통대학교 반도체신소재공학과 학부생,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Ceramics International’에 제1저자 논문 게재
국립한국교통대학교(총장 윤승조)는 반도체신소재공학과 학부 4학년에 재학 중인 염재희 학생이 텔루륨 소재의 도핑 공정 연구로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세라믹스 인터내셔널(Ceramics International) - JCR 상위 8.1%, Q1 카테고리’에 제1저자로 논문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염재희 학생은 반도체신소재공학과 정용진 교수의 지도하에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면서 김인호 석사과정 학생, 국립부경대학교 권혁진 교수 연구진과도 협업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는 ‘Enhancing thermoelectric performance in 1D tellurium nanostructures via controlled Cu and Sn ion Bi-doping sequences’라는 제목으로 투고한 논문은 학술지 온라인을 통해 2025년 3월 자로 공개됐다.

텔루륨 나노와이어 소재는 나노구조 엔지니어링을 통해 축퇴 반도체 물성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열-전기 변화, 에너지 소재 및 전자소자용 반도체로 활용할 수 있다. 염재희 학생은 텔루륨 나노와이어에 구리와 주석의 순차적 도핑 전략을 제시하고, 도핑에 따른 소재 물성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해당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글로벌 기초연구실, 기본연구)으로 수행되었으며, 국립한국교통대학교 핵심연구지원센터(Core-Facility)의 연구 장비를 활용하였다.

염재희 학생은 "이번 연구를 통해 나노소재의 미세 구조와 전기적 특성이 정교하게 맞물려 있다는 점을 실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학부 연구자로서 첫 논문을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에 발표하게 되어 뜻깊으며, 앞으로도 친환경 에너지 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탐구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본 연구를 지도한 국립한국교통대학교 반도체신소재공학과 정용진 교수는 ‘연체동물모사 뉴로모픽 기초연구실’, ‘열-전기 핵심연구지원센터 사업’ 등에 참여하여 반도체 소재 엔지니어링을 통한 미래 전자소자 및 에너지 분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정 교수는 “학부생이 전공 수업을 듣고 학부 연구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를 주도적으로 진행하여 우수한 성과를 보고할 수 있었다. 염재희 학생이 향후 우수한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지원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국립한국교통대학교는 2023년 글로컬대학30 사업에 선정된 이후, 지역 산업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첨단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 역량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국립한국교통대학교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 지원과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과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우수 인재를 양성해 나갈 계획이다.

※ 문의사항 : 반도체신소재공학과 안상기 조교 / ☎ 043-841-5381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