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교통대학교 웹사이트 입니다.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onnect KNUT

본문 시작

충주대학교 지역혁신센터, ICDD(International Centre for Diffrection Data) X-선 회절 표준자료 등록

  • 조회 : 1169
  • 등록일 : 2010-10-21
20101021094501.jpg ( 0 kb)
충주대학교 지역혁신센터, ICDD(International Centre for Diffrection Data) X-선 회절 표준자료 등록

충주대학교 지역혁신센터(센터장 신소재공학과 어순철 교수)의 김일호 교수 연구팀은 X-선 회절 표준자료를 결정하는 ICDD(International Centre for Diffrection Data) 국제 학회로부터 지난 5년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얻어진 신물질의 XRD(X-선 회절분석기) 분석 데이터가 국제적으로 등록 및 인증을 받게 되어 전 세계 표준자료에 영원히 기록을 남기게 되었다.


이번에 등록된 데이터는 최근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에너지 변환소재인 열전소재(열-전기가 상호 가역적으로 변하는 소재)분야의 탁월한 열전특성(열을 인가하면 전기가 발생되고 반대로 전기를 인가하면 냉각효과를 얻는 것)을 나타내는 In0.06CoSb2.98Te0.03 소재의 데이터가 등록되었으며, 상기 소재를 응용한 분야로는 환경오염의 주범인 프레온가스(CFC)를 이용하는 냉장고, 에어컨을 대신하여 냉각소자로써 정확한 온도제어가 가능한 냉장고, 에어컨등에 응용될 수 있으며, 또한 각종 폐열(발전소, 지열, 태양열등)을 이용하여 발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향후 가정용 및 자동차용 발전시스템으로 응용될 수 있다.


 기초소재를 연구하는데 있어 XRD(X-선 회절분석기)는 없어서는 안되는 분석장비로써, X-선을 미지의 시료에 조사하여 굴절된 각도에 따라 재료 고유의 특성(Peak)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 특성을 분석하여 미지의 시료가 어떤 성분으로 이루어 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장비이다.
 
각 재료의 고유특성(peak)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수많은 원소 및 화합물의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정리하여 만들어진 프로그램이 ICDD(International Centre for Diffrection Data)이며, 미지의 시료 데이터를 ICDD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면 구성성분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번 X선 회절 표준자료가 등록된 충주대학교 지역혁신센터는 지식경제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충청북도, 충주시가 공동지원하고 있으며, 2005년 개소 이래로 지난 5년간 에너지 부품소재에 대한 전문적인 분석장비의 구축과 집중적인 공동연구개발에 따른 성과로 평가된다. 이번 등록으로 교내 뿐 만 아니라 유관기관에 신뢰성 있는 분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