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대학 수업이 모두 비대면으로 실행하고 있습니다. 저희 학교 역시 현재 비대면 수업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1학기의 녹화된 VOD를 시청하는 강의의 방식이 수업의 질이 좋지 못하다는 많은 의견으로 인해 2학기에는 실시간 강의를 실행하고 있는데 이 실시간 강의가 오히려 수업의 질을 1학기보다 훨씬 떨어뜨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대다수의 강의가 VOD와 실시간 혼합 강의 방식을 채택하여 진행 중에 있는데 이 방식에 많은 문제 점이 있습니다. 일단 이 수업 방식을 진행하는 것에도 같은 학과임에도 불구하고 강의마다 어떠한 강의는 VOD를 미리 시청하고 해당 수업 시간에 실시간 토론의 참여, 혹은 해당 수업 시간에 VOD를 시청한 후 바로 토론 참여 등 모두 다른 수업 방식, 그리고 ecampus, 구글 meet, zoom, microsoft teams 등 강의 마다 모두 다른 매채의 활용 등 전혀 비대면 수업에 대한 정책 및 방식 전부 통일 되어있지 않고, 미리 수업을 시청하여 혼란 다른 수업과의 혼선 등이 1학기 보다 수업의 질을 훨씬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1학기 수업 방식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는 처음 하는 온라인 수업으로 인해 음성의 질, 강의 길이, 수업의 진도, 피드백 등의 이유가 있는데 2학기의 수업 방식의 질을 향상 시키는 방법은 1학기의 문제점들을 발판 삼아 확실하고 통일된 수업 방식, 정책을 정하여 진행하여야 수업의 혼선이 없고 학생들이 더욱 질 좋은 강의를 들을 수 있을거 같습니다.
현재 비대면 수업의 개선 방안
1. 통일된 실시간 강의의 플랫폼과 강의 방식 사용
2. 미리 강의를 청취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해당 시간표 상의 수업시간에 강의를 청취 한 후 실시간 피드백과 토론의 방식, 혹은 1학기와 같은 단순 VOD 청취 방식
3. 강의의 문제, 일정의 변경 같은 사항의 빠른 전달
위의 3가지의 문제에 대한 개선을 요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