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잉크젯용 유기발광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를 위한 120°C 저온 가교형 고성능 정공수송층 고분자 개발
- 조회 : 11360
- 등록일 : 2023-10-05
- 교수 : 이지훈 교수
국립한국교통대학교(총장 윤승조) 나노고분자공학전공 이지훈교수 연구팀이 경희대학교 서민철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Highly Effici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Fabricated by Solution Process with New Hole Transport Materials Cross-linked at 120oC’ 논문을 국제 저명 학술지인 ‘Chemical Engineering Journal’에 게재하였다. 소재합성은 나노고분자공학전공 김해찬, 김재겸 학생이 주도했고, OLED 소자제작 및 평가를 경희대에서 진행하였다.
이지훈 교수를 교신 저자로 한 이번 연구는 고가의 증착형 OLED 위주에서 저렴하고, 대면적이 가능한 용액공정형 OLED 기술로의 전환에 큰 기술적 걸림돌이 되었던 고난도 적층 구조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핵심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적층 시 하부층을 열가교해서 상부층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높은 열(보통 > 180도)은 소자 성능을 매우 크게 떨어뜨리는데, 이 온도를 획기적으로 낮추는 가교 소재기술을 확보한 것이다. 또한, 동시에 비공액형 고분자 시스템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정공이동도를 가진 관련 소재기술을 확보하게 되었고, 이 연구를 위해 다양한 분자 시뮬레이션 (양자 및 분자 동역학 계산 등) 기술이 사용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소재를 합성할 수 있었다. 또한, 열가교시 일어나는 분자 현상을 보다 합리적으로 해석 및 예측하는 기술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 (기능성코팅사업단장 이지훈 교수)과 한국연구재단의 대학중점연구소 (화학산업연구소장 인인식 교수) 등의 지원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세계적인 출판사 엘스비어(Elsevier)에서 발간하며 JCR 화공/일반화공 3%, 공학/산업 및 제조공학 1%, 환경과학/환경화학 2% 내외의 매우 권위있는 학술지인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Impact Factor: 16.744)에 7월 4일 자로 온라인판 게재되었다.
이지훈 교수를 교신 저자로 한 이번 연구는 고가의 증착형 OLED 위주에서 저렴하고, 대면적이 가능한 용액공정형 OLED 기술로의 전환에 큰 기술적 걸림돌이 되었던 고난도 적층 구조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핵심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적층 시 하부층을 열가교해서 상부층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높은 열(보통 > 180도)은 소자 성능을 매우 크게 떨어뜨리는데, 이 온도를 획기적으로 낮추는 가교 소재기술을 확보한 것이다. 또한, 동시에 비공액형 고분자 시스템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정공이동도를 가진 관련 소재기술을 확보하게 되었고, 이 연구를 위해 다양한 분자 시뮬레이션 (양자 및 분자 동역학 계산 등) 기술이 사용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소재를 합성할 수 있었다. 또한, 열가교시 일어나는 분자 현상을 보다 합리적으로 해석 및 예측하는 기술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 (기능성코팅사업단장 이지훈 교수)과 한국연구재단의 대학중점연구소 (화학산업연구소장 인인식 교수) 등의 지원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세계적인 출판사 엘스비어(Elsevier)에서 발간하며 JCR 화공/일반화공 3%, 공학/산업 및 제조공학 1%, 환경과학/환경화학 2% 내외의 매우 권위있는 학술지인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Impact Factor: 16.744)에 7월 4일 자로 온라인판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