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2024-453]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교통에너지융합학과 이승준 교수,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Brain Pool) 선정(24.11.8.)
- 브랜드전략실
- 조회 : 265
- 등록일 : 2024-11-19
[2024-453]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교통에너지융합학과 이승준 교수,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Brain Pool) 선정(24.11.8.).hwp
(
230
kb)
한국교통대 교통에너지융합학과 이승준 교수.png ( 28 kb)
한국교통대 교통에너지융합학과 이승준 교수.png ( 28 kb)
국립한국교통대학교(총장 윤승조) 교통에너지융합학과 이승준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인 ‘Brain Pool’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2024년 11월 1일(금)부터 2026년 10월 31일(토)까지 2년간 사업비를 지원받아 ‘리튬이차전지 대체 차세대 배터리용 소재 개발 및 물리화학적 특성 연구’를 주제로 하며, 리튬 이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배터리 소재 개발을 목표로 수계-아연금속, 아연-공기, 리튬-황 배터리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고성능, 고안정성의 핵심 소재와 고성능 금속 이온 배터리용 전이금속 산화물 및 2D-MXene/PAAm 기반 하이드로겔 전해질을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러한 소재 개발은 배터리 성능을 향상시키고 기존 배터리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Brain Pool’ 사업은 해외의 우수 과학자를 국내 연구기관으로 초빙하여 연구 환경을 국제화하고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는 동시에 차세대 연구 인재를 양성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하는 인도 Pondicherry University 화학과의 Subramania Angaiah 교수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 연속 스탠퍼드 대학과 세계적 출판 기업 엘스비어(Elsevier)에서 발표한 세계 상위 2% 과학자로 선정된 에너지 기술 분야의 전문가이다.
이번 연구는 한-인도 간 국제 공동 연구를 활성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이며, 국립한국교통대학교의 국제 협력 또한 강화될 전망이다. 또한, 이 프로젝트는 국립한국교통대학교의 글로컬대학30 사업과 RISE 사업이 연계되어 대학의 교육 및 연구 역량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교통에너지융합학과 이승준 교수는 본 과제 외에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세종과학펠로우십 사업으로 ‘레이저 광반응 연구: 플라즈마 나노합금 형성 메커니즘 및 in-situ 전기화학-라만 분광법에 의한 물분해 반응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충청북도와 충주시의 지원으로 고등기술연구원 충청캠퍼스와 공동으로 산업통상자원부의 ‘디지털 융합 기술 활용 첨단정밀화학소재 성능고도화 지원’ 사업도 진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문의사항 : ☎ 043-841-5422 / 교통에너지융합학과 이승준 교수
이번 프로젝트는 2024년 11월 1일(금)부터 2026년 10월 31일(토)까지 2년간 사업비를 지원받아 ‘리튬이차전지 대체 차세대 배터리용 소재 개발 및 물리화학적 특성 연구’를 주제로 하며, 리튬 이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배터리 소재 개발을 목표로 수계-아연금속, 아연-공기, 리튬-황 배터리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고성능, 고안정성의 핵심 소재와 고성능 금속 이온 배터리용 전이금속 산화물 및 2D-MXene/PAAm 기반 하이드로겔 전해질을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러한 소재 개발은 배터리 성능을 향상시키고 기존 배터리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Brain Pool’ 사업은 해외의 우수 과학자를 국내 연구기관으로 초빙하여 연구 환경을 국제화하고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는 동시에 차세대 연구 인재를 양성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하는 인도 Pondicherry University 화학과의 Subramania Angaiah 교수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 연속 스탠퍼드 대학과 세계적 출판 기업 엘스비어(Elsevier)에서 발표한 세계 상위 2% 과학자로 선정된 에너지 기술 분야의 전문가이다.
이번 연구는 한-인도 간 국제 공동 연구를 활성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이며, 국립한국교통대학교의 국제 협력 또한 강화될 전망이다. 또한, 이 프로젝트는 국립한국교통대학교의 글로컬대학30 사업과 RISE 사업이 연계되어 대학의 교육 및 연구 역량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교통에너지융합학과 이승준 교수는 본 과제 외에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세종과학펠로우십 사업으로 ‘레이저 광반응 연구: 플라즈마 나노합금 형성 메커니즘 및 in-situ 전기화학-라만 분광법에 의한 물분해 반응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충청북도와 충주시의 지원으로 고등기술연구원 충청캠퍼스와 공동으로 산업통상자원부의 ‘디지털 융합 기술 활용 첨단정밀화학소재 성능고도화 지원’ 사업도 진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문의사항 : ☎ 043-841-5422 / 교통에너지융합학과 이승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