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교수진

학과안내

본문 시작

Professor
  • 박소영교수 이미지
    박소영 교수
    • 직책 교수
    • 전공분야 특수교육
    • 연구실 증평캠퍼스 국제관 210호
    • 연락처 Tel : 043-820-5292
      E-mail atom@ut.ac.kr

▶ 학력

단국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졸업(교육학박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졸업(교육학석사)
강남대학교 특수교육과 졸업(문학사)



▶ 경력 

1993.03. – 2001.02. : 한국구화학교 교사
2001.03. – 2009.10. : 국립한국경진학교 교사
2009.10. – 2012.02. : 국립특수교육원 교육연구사
2012.03. – 현    재 : 한국교통대학교 교수
2015.05 – 2019.04. : 충청북도교육청 특수교육운영위원
2015.08. – 2020.06 : 충청북도의회 교육 자문위원
2016.04. – 2020.03: 증평군청 보육정책 자문위원
2017.03. – 현    재 : 청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운영위원
2013.03. – 현    재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이사
2013.03. – 현    재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이사
2015.03. – 현    재 : 한국통합교육학회 이사
2015.03. – 현    재 : 한국행동분석학회 이사



▶ 연구업적 

[학술저서]
2012 아하! 통합학급 문제행동, 학지사.
2013 아하! 통합학급, 학지사.
2013. 특수아를 위한 활동하며 배우는 성교육, 학지사.
2014. 아하! 통합교육, 학지사.
2014. 특수교육 수업컨설팅, 교육과학사.
2015. 장애아 보육과정, 에듀케어 아카데미.


[학술논문]
박소영 외. (2007). 장애유아를 위한 협력교수의 수행요소와 전제조건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제9권 제1호.
박소영 외. (2009). 통합된 장애유아의 변화를 통해 본 협력교수의 이점. [특수교육학연구], 제43권 제4호.
박소영 외. (2009).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기관의 협력교수 수행 과정 연구.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제8권 제4호.
박소영 외. (2009). 특수교육보조원과 특수교사의 협력적 역할과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특수학교 특수교육보조원과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박소영 외. (2009). 다운증후군 아동 얼굴 성형수술에 대한 교사의 견해 조사.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박소영 외. (2010). 역통합교육기관의 교육행정 지원 실태 및 지원 방안. [통합교육연구], 제5권 제1호.
박소영 외. (2010). 일반학교 특수교육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협력적 역할과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박소영 외. (2010). 관용어의 친숙도, 성별, 학업성취도가 관용어 이해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박소영 외. (2011). 특수학급 설치 일반학교의 웹 접근성 현황 평가 연구. [통합교육연구], 제6권 제2호.
박소영 외. (2013). 학교특색활동과 아침자습활동이 초등학생의 장애 인식 및 장애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박소영 외. (2014). 온라인상에서의 영유아기 육아 상담에 나타난 주요 주제와 솔루션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박소영. (2014). 국립대학교 장애대학생 교육복지 지원 실태 및 평가 향상방안. [통합교육연구], 제9권 제2호.
박소영 외. (2016). 인성동화 들려주기 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1호.
박소영 외. (2017).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이유식 이해, 식품 기호도, 이유식 실천태도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박소영 외. (2017).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에 관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추론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14호.
박소영 외. (2017). 학교 관리자의 통합교육 운영 만족도 및 교육공동체 수용태도에 관한 인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제10권 제2호.
박소영 외. (2017).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국내 통합교육의 방향에 대한 고찰과 제언. [심리운동연구], 제3권 제2호.
박소영 외. (2017). 통합교육 운영 만족 예측모형 분석에 근거한 통합교육 개선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24호.
박소영 외. (2018). 동화 들려주기 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심리운동연구], 제4권 제1호.
박소영 외. (2018). 취약계층학생의 수학과 학습부진 유형 연구: 잠재프로파일 전이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박소영 외. (2018). 중등학교 관리자의 통합교육 경험 및 인식에 나타난 통합교육 정책 개선 요구.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박소영 외. (2018). 유치원 교사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관련 이해도 및 이행 만족도. [통합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박소영 외. (2019). 선명상 프로그램이 취업 준비 학생의 뇌기능지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수선재 명상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12호.
박소영 외. (2019). 선명상 프로그램이 취업 준비 학생의 마음챙김,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수선재 명상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6호.
박소영 외. (2019).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특수교육연구’ 학술지의 연구 동향. [특수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박소영 외. (2019). Changes in Personality Traits by Mental Health Statu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y in Mathematics in Low-income Families: Findings from Latent Profile Transition Analysis, 127th Annual APA Convention

박소영 외.(2019) 특수교육 정책 실행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한 특수교육 중장기 발전 정책 탐색-충청북도를 중심으로.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박소영 외. (2019). 시·도지역 특수교육 발전을 위한 특수교육 당사자의 요구 분석: 충청북도를 중심으로[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박소영 외. (2020). 유아기 의무교육 권리 강화를 위한 특수교육대상학생 보호자의 지원 요구[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제13권 제3호.
박소영 외. (2021). 유아특수교사가 인식하는 놀이지원 역량의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및 영향 변인 분석[특수교육학연구], 제55권 제4호.
박소영 외.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 기반 유아특수교사 놀이지원 실행역량 모형의 구성 타당성 검증[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박소영 외. (2021). 유아특수교사와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 차이 탐색과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제56권 제3호.

박소영 외. (2021).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 특성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박소영 외. (2022). 와인명상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알아차림 주의자각,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3권 제3호.

박소영 외. (2022).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인식 분석 : 머신러닝 접근. [유아특수교육연구], 제22권 제1호.

박소영 외. (2022).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 역할과 지원 요구. [유아특수교육연구], 제22권 제2호.

박소영 외. (2022). 유치원교사의 놀이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지능의 매개효과. [유아특수교육연구], 제22권 제3호.

박소영 외. (2022). 국내 특수교사 양성 대학의 행동분석 관련 과목 운영 실태: 행동분석전문가 학사학위 과정 자격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논의. [행동분석․지원연구], 제9권 제2호.

박소영 외. (2022). 협력적 팀 접근을 통한 다요소 행동지원이 발달지체 유아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교육통합연구], 제3권 제2호.

박소영 외 (2023). 협력적 팀 접근을 통한 다요소 행동지원이 발달지체 유아의 배변훈려과 소리 지르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교육통합연구], 제4권.

박소영 외. (2023). 박소영 외 관용어의 친숙도 및 성별이 관용어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23권 3호.

박소영 외. (2023). 전국 특수학급 과밀 배치 현황 분석을 통한 한국 통합교육 정책과 특수교육법 개정 방안. 〔통합교육연구〕, 제18권 2호.

박소영 외. (2023). 관용어의 친숙도와 유아특수교사의 연령이 유아특수교사의 관용어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23권 11호.

박소영 외. (2023). 통합교육 기관의 긍정적 행동중재지원(PBIS) 사례. 〔미래교육통합연구〕, 제 5권.

박소영 외. (2023). 박소영 외 관용어의 친숙도 및 성별이 관용어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33. 

박소영 외. (2023). 전국 특수학급 과밀 배치 현황 분석을 통한 한국 통합교육 정책과 특수교육법 개정 방안. 통합교육연구, 182.

박소영 외. (2023). 관용어의 친숙도와 유아특수교사의 연령이 유아특수교사의 관용어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311.

박소영 외. (2023). 통합교육 기관의 긍정적 행동중재지원(PBIS) 사례. 미래교육통합연구, 5.



[학술대회 발표]

박소영 외. (2014). 영아기 육아 상담에 나타난 주요 개념과 솔루션 탐색.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3호.

박소영 외. (2016).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on Classroom Behavior and Soci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in Inclusive Settings, 42nd Annual ABAI Convention

박소영 외. (2017).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한국 통합교육의 방향성 검토-통합교육에 대한 국제 기조와 한국의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박소영 외. (2020). 유아기 의무교육 권리 강화를 위한 특수교육대상학생 보호자의 지원 요구.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박소영 외. (2022).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의 영향변인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영 역량 강화 방안.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박소영 외. (2023). 협력적 팀 접근을 통한 다요소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간접평가의 중요성. [한국행동분석학회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박소영 외. (2023). 중국 유치원 놀이지원 연구의 발전 동향 및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하계 학술대회 자료〕

박소영 외. (2023). 한국의 통합교육 공감의 범과 정책으로 거듭나기: Mosaic verse Melting Pot?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하계 학술대회 자료〕

박소영 외. (2023). 공립유치원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 학교 운영 실태 및 요구조사. 〔2023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박소영 외. (2023). 중국 유치원 놀이지원 연구의 발전 동향 및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하계 학술대회 자료

박소영 외. (2023). 한국의 통합교육 공감의 범과 정책으로 거듭나기: Mosaic verse Melting Pot?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하계 학술대회 자료

박소영 외. (2023). 공립유치원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 학교 운영 실태 및 요구조사.2023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공동연구]
2016.03. 초등 3~4학년군 (과학)교과 교과용 도서 편찬, 국립특수교육원.
2017.12. 장애영아용 교사용 지침서 개발연구, 충청남도교육청,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8.12.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개정 기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9.11. 개별화교육계획 현장성 강화 방안 연구(2/2년) 개별화교육계획 운영 가이드북, 국립특수교육원


[공동집필]
2008.03. 특수교육과정 기본교육과정 1~3단계 (미술)교과 교과용 도서 편찬, 국립특수교육원.
2013.03. 특수교육과정 초등 3~4학년군 (미술)교과 교과용 도서 편찬, 국립특수교육원.
2015.03. 통합교육 교수-학습자료 개발: 초등 5~6학년군 (국어)교과, 국립특수교육원.

2019.11. 특수교육대상 영유아 교육과정 운영지원 자료 개발 연구(1/4), 국립특수교육원.
2019.11. 연령별 장애영아 교육활동 자료집 교사용 지침서
2019.11. 연령별 장애영아 교육활동 자료집 운영의 이해

2019.11. 0-12개월 장애영아 교육활동 자료집 1. 일상생활/2. 신체운동/3. 인지·의사소통
2019.11. 1세 장애영아 교육활동 자료집 1. 일상생활/2. 신체운동/3. 인지·의사소통
2019.11. 2세 장애영아 교육활동 자료집 1. 일상생활/2. 신체운동/3. 인지/4. 의사소통

2020.11.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지원 자료 1권 누리과정 운영 안내
2020.11.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지원 자료 2권 놀이 이해 자료
2020.11.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지원 자료 3권 놀이 실행 자료
2020.11.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지원 자료 4권 놀이운영사례집-통합교육Ⅰ
2020.11.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지원 자료 5권 놀이운영사례집-통합교육Ⅱ
2020.11.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지원 자료 6권 놀이운영사례집-특수학교Ⅰ(유아특수학교)
2020.11.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지원 자료 7권 놀이운영사례집-특수학교Ⅱ(특수학교 유치원)
2020.11.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지원 자료 8권 놀이운영사례집-순회교육


[책임연구]
2016.12. 경기도 통합교육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청.
2018.12. 충청북도 특수교육 발전방안 연구, 충청북도교육청.

2020.11. 특수교육대상 영유아 교육과정 운영지원 자료 개발 연구(2/4), 국립특수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