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진로

전공소개

본문 시작

졸업 후 진로

신소재공학은 구조와 특성이 알려진 기존의 재료들로부터 보다 더 나은 특성을 갖는 신(新)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재료과학의 원리를 배우고 공학적으로 응용하는 학문입니다. 신소재공학도들은 졸업 후 기업 및 국가 또는 민간 연구소로 진출하여 반도체/IT/디스플레이/자동차 분야의 핵심 소재와 부품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일을 합니다.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한국의 산업 경쟁력의 중요한 영역에서 첨단 소재 및 부품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어 신소재공학도들의 사회적 역할이 더욱 클 것으로 판단됩니다.

  • 기업 분야: 반도체, 디스플레이, 세라믹, 에너지, 환경 및 전기 전자 소재 부품 관련 기업, 금속 제련 및 가공 업체, 자동차, 조선, 항공 분야 제조업체의 연구 및 개발 엔지니어, 품질관리사, 분석 및 시험 검사원, 기술 영업직 등
  • 연구소: 반도체/금속/세라믹/신소재 섬유 및 가공 관련 국가 연구소 및 민간 연구소 연구원
  • 변리사, 교수, 창업 CEO 등

재료(소재)공학기술자

하는 일

  • 금속재료, 비철금속재료, 세라믹재료, 반도체재료, 유기재료, 복합재료 등을 제조하는 현장을 지휘·감독하며, 각종 재료의 특성을 연구한다.
  • 재료의 본질을 규명하고, 그 특성을 극대화하여 응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 세라믹, 반도체 및 기타 재료를 응집·추출·처리하기 위한 공정을 설계·개발한다.
  • 각종 금속을 이용하여 합금 또는 금속제품을 생산하는 제조공정을 관리하고, 관련된 화학적·물리적 분석을 연구한다.
  • 비금속 분야에서 유전재료, 압전재료 및 소성형 소재 등을 개발·가공한다.
  • 화학소재 분야에서 광전기능소재, 고분자 나노 복합재, 의료용 고분자 소재 및 친환경 고분자 소재를 개발·생산하고 생산공정을 관리한다.
  • 화학적, 물리적 분석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재료의 설계, 부식관리방법, 공정검사 및 기타 절차들에 관해 자문한다.

직업 전망

향후 5년간 재료공학기술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재료공학기술자의 고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소재부품산업의 생산 동향을 살펴보면, 당장은 생산액 및 출하액이 감소추세이나 최근 국제 정세변화에 따른 소재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소재부품산업의 미래는 밝은 편이다. 재료공학기술자의 고용을 결정하게 되는 주요 산업 중 기초 전자재료 분야의 대표 업종은 반도체 산업이다. 반도체산업은 근 10년간 우리나라를 지탱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큰 발전을 이루었으나 현재는 해외생산 확대에 따른 국내 반도체 산업 위축이 다소 우려되고 있다.

웨이퍼가공 부문과 후 공정의 패키징 가공 부문까지 해외 현지에서 일괄 생산체제를 갖추고 있고, 반도체 제조장비 및 재료 분야를 담당하는 중소업계들이 동반 이전하고 있는 것이 재료 부문의 수출 및 일자리 창출에 다소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다. 하지만 기존 소재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기술과 신소재의 개발에 많은 연구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에 금속, 세라믹, 고분자 각각의 신소재 개발부분에서 인력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포화되었던 자동차, 조선, 철강, 전자산업 등에서 신소재 개발을 통해 개발도상국보다 우수한 기술력으로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고자 하는 노력도 많이 보이고 있다. 따라서 재료공학기술자의 일자리는 향후 반도체, 전자·디스플레이, 연료전지, 배터리, 철강, 친환경 에너지, 세라믹 등 신소재 분야와 고분자 섬유산업 분야의 경기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재료공학기술자가 되는 길

재료공학기술자가 되려면 전문대학 또는 대학에서 신소재공학과, 금속공학과, 세라믹공학과, 재료공학과 등의 관련 학과를 졸업해야 한다. 또한 연구개발 분야는 관련 학과의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요구되며, 학부 및 대학의 전공 교육과정에서 금속 및 비금속재료의 제조, 가공, 사용 개발에 필요한 공학적 지식과 이론을 습득하는 것이 기본이다. 입사 후에는 추가적인 실무교육을 받는다. 주로 엔지니어링컨설팅회사, 철강/반도체/전자디스플레이 등의 제조업체, 정부, 국가연구소 및 교육기관 등에서 활동한다.

관련 자격증

금속기사, 금속재료산업기사, 주조산업기사, 표면처리산업기사, (초음파, 자기, 침투, 와전류, 누설) 비파괴검사기사, (초음파, 자기, 침투, 와전류, 누설)비파괴검사산업기사, 반도체설계기사, 반도체설계산업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