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교과목 개요

학사정보

본문 시작

교과목 개요

논문 연구 및 세미나(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or Seminar)

학위 논문을 위한 연구계획, 관련 논문의 이론 고찰, 연구자료의 수집, 실험 및 조사 결과 등의 분석, 분석 결과의 정리 및 논문작성 등을 이해 및 실천한다.

영유아 발달 연구(Studies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영유아의 연속적 발달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인간발달의 원리 및 이론을 비교 토의하고, 영-유아기 어린이들의 신체, 인지, 언어, 사회, 정서발달의 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연구한다.

유아교육과정 연구(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과정에 관한 다양한 관점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여러 프로그램 유형을 연구한다. 또한 우리나라 유아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영역별, 수준별 내용을 분석해 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본다.

유아사회교육 세미나(Seminar in Social Stud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의 사회성 발달 및 사회과학지식의 개념, 관련 이론, 다양한 연구를 탐색하고,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사회교육 운영방법을 모색한다.

유아언어교육 세미나(Seminar in Language A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언어발달의 이론들을 비교 검토하고 유아의 음성언어와 문자언어 발달과정을 분석하며,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언어교육방법을 연구한다.

유아 그림책 탐구(Inquiry of young children’s picture book)

아동문학과 유아기 발달과의 관계 분석을 기초로 유아기에 적합한 문학적 경험과 관련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의 유아 그림책을 탐구한다.

유아수학교육 세미나(Seminar in Mathemat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기의 수학교육에 관한 연구 및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유아 수학교육의 이론, 내용 및 교수전략에 대해서 연구한다.

유아과학교육세미나(Seminar in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과학의 기본원리 및 기초개념,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고 유아들에게 필요한 과학 지식, 기술, 태도에 대해서 검토한다. 이를 기초로 효과적인 과학교육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유아교사교육 세미나(Seminar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유아교사의 특성, 발달과정, 양성교육과정,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 유아교사의 권리·윤리, 관련 정책 등에 대한 이론과 사례를 분석하고, 유아교사의 전문성 증진 방안을 모색한다.

유아교육기관 운영 세미나(Seminar in planning and Administration of Early Childhood Programs)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에 대한 이론을 기반으로 교육프로그램, 환경, 교직원, 사무 등의 운영 및 경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연구한다.

유아교육 연구방법론Ⅰ(Research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Ⅰ)

유아교육 연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주제 선정, 연구 유형, 표집 및 자료수집 방법, 자료분석, 보고서 작성, 연구윤리 등 전체적인 연구 절차 및 방법을 이해하고, 연구를 설계한다

유아교육 현장연구(Field Stud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의 발달 및 행동 특성을 관찰, 기록, 분석, 평가하는 등 유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또한 유아-교사, 유아-유아, 유아-교구 간의 상호작용, 교수∙학습과정 및 교사의 역할 수행, 교육환경 등 유아교육현장의 특성을 관찰, 분석, 연구한다.

부모교육 세미나(Seminar in Parent Education)

부모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기초로 부모교육 프로그램들을 비교·분석하고 더 나아가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부모교육이나 부모참여 실제 사례를 분석한다.

유아창의성교육 세미나(Seminar in Crea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영유아의 창의성을 이해할 수 있는 창의성 발달의 원리 및 이론을 비교 및 토의하고, 유아교육현장 전문가들이 갖추어야 할 창의적 잠재능력을 확장시킴으로써 창의성 계발을 위한 가능성 및 성장증진 방법을 모색한다.

유아교육사상연구(History and Though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현대 유아교육 사상과 이론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동서양의 대표적인 아동 교육사상가들의 이론을 비교하고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비교 유아교육론(Comparative Stud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각국의 사회, 역사, 정치, 문화적 상황이 유아교육의 생성과 발전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또한 교육선진국의 유아교육제도, 정책, 행·재정, 교육과정, 교육현황 등을 비교하고, 세계화, 정보화시대에 요구되는 우리나라 유아교육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한다.

특수 유아 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장애를 가진 영유아를 위한 통합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고, 효과적인 교수방법과 교실운영, 교재·교구 및 교사의 역할 등 교육프로그램의 실제에 관해 최근 연구를 중심으로 탐색한다.

아동복지 세미나(Seminar in Child Welfare)

아동복지와 관련된 사회적, 국가적, 세계적 환경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복지의 개념, 일반 및 특수한 요구를 가진 영·유아를 위한 복지제도의 역할과 종류, 아동복지와 관련된 미래의 전망 등을 학습한다. 또한 취업모 증가 등의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영·유아를 위한 종일제 프로그램의 현황, 시설 및 내용을 탐색한다.

교육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 in Education)

교육현실 분석의 기초가 되는 다양한 연구설계 및 측정이론 등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교육현장 및 현실을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틀을 익힐 수 있으며, 연구계획서를 준비하고 연구보고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제반 방법론들을 습득한다.

현장교육 문제 세미나 (Seminar on Educational Issues in School)

사회문제와 교육문제에 대한 연구 및 문헌을 학습하고, 이러한 이해를 기초로 현실적인 문제를 분석하여 미래 한국교육의 전망과 비전을 제시한다.

한국의 교육정책 (Educational Policy in Education)

교육정책이 탄생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철학적 기초에 대한 이론적 이해, 의사결정 과정과 결과에 대한 실제적인 분석 등을 통하여 교육정책을 균형적으로 분석하고 비판한다.

질적 연구 세미나(Seminar in Qualitative Research)

질적 연구에 관한 대표적인 문헌과 연구물들을 탐독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이해한다. 이를 기초로 연구 대상을 선정하고 질적 연구 방법을 실제 수행한다.

삶과 교육(Life & Education)

인간의 발달과 성장 과정을 통한 교육의 영향과 관계성을 조명하고, 사회문화적인 맥락에 기초하여 삶과 교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연구한다.

다문화교육 세미나(Seminar in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교육 이론 및 관련 연구와 우리나라에서 실시되는 다문화교육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다문화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여건 및 방법을 연구한다.

지속가능성을 위한 유아교육 연구(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유아교육의 지향 방향은 무엇인지, 환경적사회적경제적 측면에서 어떤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교육해야 하는지 국내외 문헌을 통해 분석하고 우리나라 유아교육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아동권리와 인권교육 세미나(Seminar in Child’s Rights and Human Rights Education)

아동의 권리 보장과 복지를 위한 인권교육의 동향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아동권리 및 인권교육 환경 조성과 실천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아동권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유아교육기관 리더십과 장학(Leadership & Supervision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유아교육기관 교사, 원감, 원장의 리더십과 장학에 대한 이론, 사례, 관련 연구를 분석하고, 유아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장학 실행 방법을 연구한다.

유아 놀이 세미나(Seminar on Play for Young Children)

유아 놀이 이론, 놀이 발달, 놀이 환경에 대한 연구와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유아의 놀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영아교육연구(Infant Education Research)

영아기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을 분석하고 영아에게 적합한 교육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긍정적 행동지원(Positivie Behavior Support)

영유아 문제행동 관련 이론과 국내외 연구물 분석을 통해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적용할 수 있는 문제행동 중재 전략을 연구한다.

유아디지털교육 세미나(Seminar on Digi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디지털 윤리와 가정-학교 간 연계를 고려하여 유아기 발달에 적합한 디지털 미디어 교육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유아교육평가 연구(Research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sessment)

유아, 교사, 교육과정, 기관 등의 평가 관련 이론과 실제를 토대로 바람직한 유아교육평가 및 환류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양적 연구 세미나(Seminar on Quantitative Research)

질적 연구 관련 문헌과 연구물을 탐독하여 양적 연구방법을 이해하고, 통계분석 프로그램 사용 방법을 익힌다.

영유아 가족상담 세미나(Family Counseling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영유아의 심리발달 및 상담과 관련한 이론을 이해하고 영유아-가정-학교 간 바람직한 소통 방안을 모색한다.

유아교육 연구방법론Ⅱ(Research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Ⅱ)

유아교육을 연구하는데 적합한 다양한 양적, 질적 연구방법을 학습하고, 최근에 발표된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므로 유아교육 연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전문적인 연구 수행 능력을 심화한다.

유아음악교육 세미나(Seminar in Music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음악교육과 관련한 이론과 실제를 탐구하고 현장에 적용 가능한 영유아음악교육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통합적 음악교육연구(Research in Integrated Music Education)

영유아기 음악 놀이와 활동의 실제를 바탕으로 통합적 음악 접근에 대해 탐색하고 현장 적용 가능성을 모색한다.

영유아교육정책 세미나(Seminar in Poli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영유아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 정책을 살펴보고 최근의 정책 이슈가 현장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탐구한다.

영유아 미술교육 세미나(Seminar o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영유아의 미술적 표현과 창의성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적 방향을 모색하며, 국내외 이론과 사례를 바탕으로 미술교육의 실천적 방안을 탐구한다.

관찰과 면담(Observation and Interview)

관찰과 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방법의 이론적 기초를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연구설계와 분석 방안을 모색한다.

다문화 사회와 문화적 다양성(Multicultural Society and Cultural Diversity)

현대 사회에서 다문화적 현상과 문화적 다양성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갈등과 도전 과제를 비판적으로 논의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이고 실질적인 접근 방안을 모색한다.

유아문학교육연구 (Study on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유아 문학의 본질과 가치를 탐구하며, 이를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동화, 시, 전래동화 등 다양한 유아 문학 장르를 분석하고, 유아의 발달 단계에 적합한 문학적 경험을 설계하기 위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더불어, 유아문학의 현대적 동향을 검토하며, 디지털 미디어와의 융합 가능성을 탐구하여 새로운 교육적 접근을 논의한다.

유아내러티브연구 (Study on Narratives of Young Children)

유아 내러티브의 본질과 발달 과정을 탐구하며, 언어 발달, 사고력, 사회적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이야기 생성 능력과 구조를 분석하여 내러티브 기반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고,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유아 내러티브의 차이와 특성을 이해하고, 내러티브 활동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갖는 의미와 효과를 탐구한다.

유아교육연구동향 (Current Research Top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의 발전 방향을 탐구한다. 다양한 학술 논문, 보고서, 정책 자료를 검토하여 유아교육에서 제기되는 주요 이슈와 쟁점을 파악하며, 글로벌 및 지역적 관점에서 유아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논의한다.

유아그림책과 교육실천 (Young children’s Picture book and Education Practice)

이 과목은 유아교육에서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를 탐구하고, 이를 실천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유아의 발달적 요구를 반영한 그림책 선택과 활용 방법을 학습하며, 그림책을 통해 언어 발달, 정서적 공감, 사회적 이해를 촉진하는 전략을 개발한다. 또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활동과 통합 교육 방안을 모색하며, 디지털 그림책 등 현대적 매체의 가능성도 검토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그림책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실천적으로 설계한다.

고급 유아교육 연구방법론 (Advanced Research Methods in Early Children Education)

유아교육 연구에 필요한 고급 연구 방법론을 학습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을 탐구한다.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 설계를 심층적으로 탐구하며, 데이터 수집, 분석, 해석의 고급 기술을 익힌다. 특히, 유아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복합적인 문제를 연구하기 위한 방법론적 접근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최신 연구 동향을 반영한 실증적 연구 설계를 탐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