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글로벌대학원 교육과정

학사정보

본문 시작

교과목 소개: 글로벌융합대학원

교과목 소개: 글로벌융합대학원
교과목 소개: 글로벌융합대학원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이수 구분 교과목 번 호 교 과 목 명 학점 비고
전공필수 52003 연구보고서작성법 (The Practical Method of Research and Report) 2
52156 논문연구및세미나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or Seminar) 1
전 공 선 택 52101 행정이론 (Theory of Public Administration) 3
52103 조직이론 (Organization Theory) 3
52104 정부인력관리론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3
52105 정부예산론 (Government Budgeting) 3
52145 국가발전과 행정개혁론 (National Development and Public Reform) 3
52119 행정철학 (Philosophy of Public Administration) 3
52121 한국행정론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3
52122 관료제와시민집단 (Bureaucracy and Citizen Group) 3
52123 조직과민주주의 (Organization and Democracy) 3
52124 조직행태론 (Organizational Behavior) 3
52125 인간관계와리더십 (Human Relations and Leadership) 3
52126 조직진단과분석 (Organizational Diagnosis and Analysis) 3
52127 노사관계론 (Management-Labor Relations) 3
52134 행정사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3
52141 정부-기업관계론 (Government-Business Relations) 3
52146 행정학특강 (Special Seminar on Public Administration) 3
52147 생태주의행정철학 (Ecology and Administrative Philosophy) 3
52148 의회와정부,그리고리더십 (National Assembly and Government, and the Leadership) 3
52149 지역혁신이론및세미나 (Regional Innovation Theory) 3
52106 공공정책론 (Public Policy) 3
52150 복지정책 (Social Welfare Policy) 3
52128 행정기획론 (Administrative Planning Theory) 3
52151 정보정책론 (Information Policy) 3
52130 정책분석및평가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3
52131 과학기술정책세미나 (Seminar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3
52132 비교공공정책론 (Comparative Public Policy) 3
52133 교육정책세미나 (Seminar in Educational Policy) 3
52136 환경정책론 (Environmental Policy) 3
52138 문화정책세미나 (Seminar in Cultural Policy) 3
52142 경제정책세미나 (Seminar in Economic Policy) 3
52152 정책학특강 (Special Seminar on Public policy) 3
52153 규제정책 (Regulatory Policy) 3
52107 지방자치론 (Theory of Local Self-Governing) 3
52135 정부생산성세미나 (Seminar in Government Productivity) 3
52137 도시정책세미나 (Seminar in Urban Policy) 3
52139 지역사회권력구조론 (Community Power Structure) 3
52140 지방재정세미나 (Seminar in Local Finance) 3
52143 지역경제론 (Regional Economics) 3
52154 지방의회론 (Local Assembly) 3
52102 법학이론 (Theory of Law) 3
52111 공법세미나 (Seminar in Public Law) 3
52112 사법세미나 (Seminar in Private Law) 3
52113 헌법 (Constitutional Law) 3
52114 행정법 (Administrative Law) 3
52115 형법 (Criminal Law) 3
52116 민법 (Civil Law) 3
52155 노동법 (Labor Law) 3
52108 사회과학연구방법론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ology) 3
52109 행정계량분석Ⅰ (Quantitative Analysis Ⅰ) 3
52110 행정계량분석Ⅱ (Quantitative Analysis Ⅱ) 3
52802 지역혁신정책 및 세미나 (Regional Innovation Policy) 3
52803 토지 및 주택정책론 (Land and Housing Policy) 3
52804 정부규제론 (Government Regulation) 3

교과목 개요

논문연구및세미나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or Seminar)

학위 논문의 연구를 위한 연구계획, 관련논문의 이론적 고찰, 연구자료의 수집, 실험 또는 내용의 고찰, 실험결과의 분석 또는 내용의 분석결과의 정리 및 논문작성의 능력과 태도를 갖게 하고, 학문적 연구 능력과 논문작성법 및 학습발표의 방법과 능력을 갖추게 한다.

연구보고서작성법 (The Practical Method of Research and Report)

석사 학위 취득을 위해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결정된 연구테마를 대학원생 본인이 문헌연구와 실증조사를 통해 연구보고서로 완성하게 한다.

행정이론 (Theory of Public Administration)

현대 행정학의 역사적 전개와 그 미래 지향점을 조망해 주는 행정이론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행정학의 기초 지식체계를 정립시킨다. 또 행정학 각 분야들 간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고, 행정이론의 발달에 공헌한 주요 문헌들과 최근의 연구경향을 소개한다.

조직이론 (Organization Theory)

조직의 중요 개념과 이론들을 정부조직, 기업조직, 민간조직으로 유형화시켜 탐색한다.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방법들을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며, 조직을 설계하는데 고려해야 할 제약조건들을 연구한다.

정부인력관리론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좋은 행정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어 주요 전제인 정부 인력관리의 바람직한 방향을 이론과 실천의 연계 틀 속에서 추구해 본다. 또 좋은 인사행정을 구현하기 위한 정부 인력관리의 혁신적 절차와 효율적인 인력관리기법들을 기업 인사관리와의 비교론적 시각에서 체계적으로 강구해 본다.

정부예산론 (Government Budgeting)

예산편성-심의-집행-회계검사라는 예산과정을 중심으로 나랏돈이 지니고 있는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예산이 움직이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당해 년도 예산안을 중심으로 예산과정을 천착해 봄으로써 현실의 공공경제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되도록 강의를 꾸미고 있다.

국가발전과행정개혁론 (National Development and Public Reform)

21세기 세계화 시대의 시대적 정언명령인 국부(國富), 국질(國質), 국격(國格)의 발전 패러다임적 함의를 최근의 발전사회학 관련문헌과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정리해 봄으로써, 향후 한국 사회발전의 새로운 좌표를 구체적으로 모색해 본다.

행정철학 (Philosophy of Public Administration)

이 과목은 철학의 틀 혹은 철학의 각도에서 행정현상을 이해하고 실천해 보는 행정학의 한 분과학문이다. 이 과목에서는 먼저 행정본질론, 행정인식론, 행정가치 및 윤리론 등으로 행정철학의 체계를 정립해 봄으로써 행정에 대한 규범적 이해를 도모해 본다. 그리고 행정 실세계에서 행정의 명암을 잘 보여 주는 행정가치 및 공직윤리 구현 실례들을 사례분석 해 봄으로써 행정가치 구현전략을 스스로 모색해 보게 한다.

한국행정론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한국행정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시대별로 조망한 뒤, 현재 한국행정이 당면하고 있는 문화적, 구조적 제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향을 논의한다.

관료제와시민집단 (Bureaucracy and Citizen Group)

공공분야의 대표적 존재라고 할 수 있는 정부관료제 및 민간분야의 대표적 존재라고 할 수 있는 시민집단의 존재이유와 역사적 발달과정을 소개한다. 아울러 양자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 틀과 사례들을 대한민국을 중심으로 다룬다.

조직과민주주의 (Organization and Democracy)

조직 안에서 전개되는 조직인들의 권력적 상호작용 및 조직과 시민들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들을 탐구한다. 특히 소외와 권력의 관점에서 사회적 약자의 위치에 놓인 사람들의 정체성을 민주주의가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에 관심을 가진다.

조직행태론 (Organizational Behavior)

조직 내 개인의 문제와 개인들의 상호작용을 다룬다. 인간의 욕구와 동기, 지각과 인지, 학습과 문제해결, 잠재력과 자아실현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조직 내 개인의 문제에 접근하며, 집단의 문제해결과 만족감을 중심으로 개인들의 상호작용을 탐구한다.

인간관계와리더십 (Human Relations and Leadership)

유명한 소설들을 교재로 선택해 어떠한 리더십이 좋은 인간관계와 나쁜 인간관계를 만들어 내는가 하는 문제를 이론적으로 접근한다. 권력과 영향력의 관점에서 그리고 목표달성과 생산성의 관점에서 올바른 리더십의 조건들을 탐색한다.

조직진단과분석 (Organizational Diagnosis and Analysis)

조직의 문제점을 진단하는 기법들을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하는 방법들을 정부조직, 기업조직, 사회조직 등으로 나누어 탐색해 본다. 아울러 그러한 기법과 방법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들을 연구한다.

노사관계론 (Management-Labor Relations)

노동자와 사용자 그리고 정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과 그 해결책을 선진국의 사례와 이론들을 동원해 탐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노사관계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 본다.

행정사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역사의 흐름 속에서 지속적인 변화를 거듭하여 온 서구와 한국의 행정환경, 행정제도, 정책 및 행정인의 행태에 대한 이해를 통해, 현재의 행정을 이해하고, 향후 행정의 제반 측면이 어떻게 변화될 것이며 변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예측과 진단을 시도한다.

정부-기업관계론 (Government-Business Relations)

새로운 지식기반의 사회에서는 과거와는 다른 정부와 기업의 관계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변화에 부합하도록 이 과목은 관료주의와 자본주의의 병행 가능성이라는 철학적 문제에서부터 공기업의 민영화, 정부와 재벌 간의 관계, 정부의 벤처기업 육성 및 지원 전략 등 정부와 기업간의 바람직한 문제 등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행정학특강 (Special Seminar on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의 내용은 시대에 따라 변한다. 그리고 국내외의 환경변화에 따라 강조점들이 달라진다. 이 강의에서는 행정이론과 실무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시대의 흐름에 맞춰 소개한다.

생태주의행정철학 (Ecology and Administrative Philosophy)

생태주의행정철학은 생태주의의 학문적 본질과 생태문제 해결자로서의 정부의 존재이유에 대한 철학적 사유와 더불어, 정부가 추구해야 할 바람직한 생태적 가치의 구현 및 사회전체의 생태적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철학을 정립하려는 실천철학의 학문영역이다. 따라서 생태주의 행정철학에선, 생태 조절적 역할자로서의 정부의 존재이유와 생물지역주의에 따른 생태적 존재로서의 공무원 자신의 존재적 본질에 대한 형이상학적 논구와 더불어, 사회 전체의 생태적 전환이라는 실천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관료들에게 생태적 가치, 생태윤리를 인식시키고, 생태친화적 정책철학과 생태적 리더십철학을 학습시킨다.

의회와 정부, 그리고 리더십 (National Assembly and Government, and the Leadership)

나라관리의 중심축이 대통령과 국회라는 인식을 제고시킨다. 아울러 그 핵심에 리더십이 자리하고 있기에 여러 가지 사례에 기초하여 리더십의 여러 측면을 살펴본다.

지역혁신이론및세미나 (Regional Innovation Theory)

지역혁신 체제가 구축되는 현상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과 개념을 고찰하고 지역혁신지역의 경험적 사례와 실증연구결과를 심도있게 연구하여 지역혁신이론의 현실적용가능성을 탐색한다.

공공정책론 (Public Policy)

공공정책 이론을 강의하고 정책형성, 집행 및 평가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공공정책의 역학적 관계를 분석하여 공공정책과정에 대한 과학적 실무적인 지식을 배양함을 목적으로 한다.

복지정책 (Social Welfare Policy)

복지사회의 구현을 위한 통합적, 전략적 정책접근을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찾아보고, 복지정책의 분야별 분석과 아울러 특히 사회보장제도의 실천전략을 논의한다. 그리고 최근 중시되는 지역복지 차원에서의 복지공동체 형성전략을 복지 다원주의적 시각에서 강구해 본다.

행정기획론 (Administrative Planning Theory)

공공부문의 기획을 주로 전략적 기획의 시각에서 접근하여 기획의 과정을 강의하며, 과정별로 중요한 이슈에 대하여는 실증적인 분석을 함으로써 실제적인 기획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정보정책론 (Information Policy)

정보사회의 도래로 인한 사회의 모든 분야의 변화를 능동적으로 끌고 갈수 있는 정보정책과 전자정부 관련 전문인력의 양성이 국가경쟁력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전자정부와 정보정책에 대한 지식이 공직자 임용의 필수 요건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이 분야에 대한 교육이 대학교의 중요과목이 되어야 할 것이다.

정책분석및평가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정책결정에 있어서 필요한 분석기술 및 정책평가 이론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사례를 분석 평가함으로써 분석과 관련된 기법 및 평가활동에 이해를 증진시키고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으로 목적으로 과정을 진행한다.

과학기술정책세미나 (Seminar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지식기반 사회의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성하는 과학기술정책을 공공정책의 이론을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평가 및 외국의 정책사례를 연구하여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정책 방향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비교공공정책론 (Comparative Public Policy)

공공정책에 대한 비교분석에 대한 방법론적인 논의와 주요정책에 대한 우리나라와 외국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공공정책의 과학적 체계적 분석능력을 함양토록 한다.

교육정책세미나 (Seminar in Educational Policy)

우리나라 교육정책의 역사적 전개과정, 교육구조, 인력, 행정체계 및 재정과 관련된 정책결정과정과 집행 및 평가활동을 체계적으로 탐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환경정책론 (Environmental Policy)

크게는 인류의 생존과 직결되어 있고, 적게는 국가경쟁력과 긴밀한 관계에 놓여 있는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그간의 환경정책이 지녔던 성격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바탕으로 향후 보다 효과적인 환경정책의 수행을 위한 인식의 전환과 제도적 정비를 모색한다.

문화정책세미나 (Seminar in Cultural Policy)

정부정책의 불모지라 할 수 있는 문화정책 분야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글로벌화 및 정보화가 가져올 문화적 종속 및 기존 문화의 해체 그리고 이러한 문제들이 가져올 사회전반의 변화들을 분석하며,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한국 문화정책의 기본 방향과 제도적 정비를 모색한다.

경제정책세미나 (Seminar in Economic Policy)

이 과목은 개발연대부터 시작되어 우리에게 익숙한 관 주도의 불균형적 경제발전정책들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현재는 어떤 좌표에 서 있는가를 토론한다. 특히 재벌정책, 금융실명제, 토지공개념, 산업지원정책 등 다양한 경제정책사례들을 선정하여 이를 집중적으로 토론함으로써 행정현상들을 경제학적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형성해 준다.

정책학특강 (Special Seminar on Public policy)

행정학의 내용은 시대에 따라 변한다. 그리고 국내외의 환경변화에 따라 강조점들이 달라진다. 이 강의에서는 정책이론과 실무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소개한다.

규제정책 (Regulation Policy)

공공분야의 역할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정부 규제다. 규제는 민간분야의 불필요한 권한 확대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불평등과 모순을 방지한다. 하지만 과도한 규제는 오히려 민간의 활력을 저해한다. 이 강의는 정부와 공공부문의 각종규제의 영향력과 장단점을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지방자치론 (Theory of Local Self-Governing)

현대의 정치ㆍ행정제도에 있어 분권화가 지니는 함의를 이해하고, 이러한 분권화의 제도적 표현인 지방자치의 의미를 파악하며, 지방자치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가치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이해하는 동시에 향후 지방자치의 효율적 정착을 위한 제도적 과제들을 모색한다.

정부생산성세미나 (Seminar in Government Productivity)

현대 정부의 구조적 한계로까지 인식되고 있는 생산성 저하 문제에 착안하여 생산성저하의 주된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며, 정부의 생산성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법이나 시도들의 효과와 한계를 인식함으로써 정부생산성을 바라보는 타당한 관점을 정립한다.

도시정책세미나 (Seminar in Urban Policy)

전체 인구의 대다수가 거주하고 있는 도시에서 특유하게 나타나고 있는 제반 도시문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올바른 도시구조의 형성을 위해 그리고 나아가 국토 전반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 수행되어야 할 도시정책의 제반 영역과 과제를 탐구한다.

지역사회권력구조론 (Community Power Structure)

지역사회의 의사결정에 있어 여러 형태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권력주체들의 형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호관계가 어떤 방식으로 정형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식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제반 의사결정의 실체와 과정을 이해한다.

지방재정세미나 (Seminar in Local Finance)

이 과목은 세계화와 지방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지방의 세계화(Globalization)시대에 요구되는 지방재정의 바른 모습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이다. 이를 위해 지방재정의 바른 모습, 지방재정교부금, 양여금, 보조금의 지방재정조정제도, 다양하게 구성된 지방세의 특성과 역할, 세외수입의 활성화문제 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한다.

지역경제론 (Regional Economics)

오늘날은 지방의 독자성과 주체성을 강조하는 시대이다. 이 과목은 종래에 서울의 변두리처럼 개발되어 온 지방의 경제현상을 이해하고 문제들을 점검함으로써, 지방화시대가 요구하는 지역경제의 새로운 모습을 탐색하고 있다. 특히 경제의 다양한 주체 (가계, 기업, 지방정부)와 하위부문 (1ㆍ2ㆍ3차 산업, 1ㆍ2차 금융, 대외경제)에 대해 특정의 지역은 어떻게 반응하고 움직이고 있는지를 사례분석을 통해 이해하는데 강의의 초점을 둔다.

지방의회론 (Local Assembly)

지방자치의 본격적 시행에 있어 주요한 제도적 장치인 지방의회 구성의 자치적 합의를 이론적으로 논구하고, 한국 상황에 적합한 지방의회의 기능, 권한 및 조직화 방법과 지방자치단체장과의 바람직한 관계설정 등을 실천적 각도에서 강구해 본다.

공법세미나 (Seminar in Public Law)

헌법, 행정법, 형법 등 공법의 이론적 측면을 실제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공법의 이론과 실제의 효율적 연계를 통해 법의 공공적 측면을 좀더 종합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사법세미나 (Seminar in Private Law)

민법, 상법 등 사법의 이론적 측면을 실제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사법의 이론과 실제의 연계를 통해 사회경제적 생활에서의 법률적 문제해결능력을 고양시킨다.

헌법 (Constitutional Law)

한국 헌법의 특색을 이해시키고, 아울러 각국의 헌법제도를 비교 고찰하여 국가의 기본법인 헌법규범의 원리를 알도록 한다.

행정법 (Administrative Law)

행정법의 기본원리, 행정에 관한 법규범의 내용, 타당성, 상호관계를 명백히 하고 행정작용의 내용과 발전에 관한 이론과 그 구체적 법 적용에 대해 분석한다.

민법 (Civil Law)

민법의 기본원리, 권리의 주체와 객체 및 변동, 법률행위, 대리, 시효 등 민법 전반에 대한 이론을 이해시켜 일상생활에 적용토록 한다.

노동법 (Labor Law)

근로자의 근로조건에 관한 법률, 국민의 고용을 보장하는 법률들을 이해시켜 일상생활에 적용토록 한다.

사회과학연구방법론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ology)

사회현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과학적 지식과 방법을 행정현상의 예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객관적인 방법론을 주로 소개하되 객관적인 방법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두된 주관적인 방법론의 장단점을 실제의 조사 설계 과정을 통해 확인한다.

행정계량분석 I (Quantitative AnalysisⅠ)

행정현상을 숫자들의 관계로 파악하는 분석방법인 통계적 기법을 다룬다. 주로 컴퓨터 통계패키지를 다루는 방법 및 결과에 대한 해석방법 등을 탐구할 수 있도록 실습 위주로 과정을 진행하고, 계량분석 과정에서 연구자가 빠지는 함정들을 소개한다.

행정계량분석Ⅱ (Quantitative AnalysisⅡ)

관리과학 (Management Science)의 제 기법을 습득하는 것이 수업의 주된 내용이다. 이러한 기법의 습득을 통해 행정관리자가 수행하는 의사결정의 합리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행정현상에 대한 과학적ㆍ객관적 이해를 증진시키고 행정의 생산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하게 된다.

지역혁신정책 및 세미나 (Regional Innovation Policy)

지역혁신 체제가 구축되는 현상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과 개념을 고찰하고 지역혁신지역의 경험적 사례와 실증연구결과를 심도 있게 연구하여 지역혁신정책의 현실적용가능성을 탐색한다.

토지 및 주택정책론 (Land and Housing Policy)

토지와 주택문제에 대한 사회 경제적 논의와 이론을 정립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토지 정책 및 주택정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둔다.

정부규제론 (Government Regulation)

정치경제적 관점에서 정부규제의 형성과 변화원인에 관한 다양한 이론과 규제영향 분석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토대로, 현실에서의 다양한 규제에 대한 이해 및 응용능력을 배양한다.